서론
다공성 세라믹은 필터 및 촉매 담체, 내열재, 구조체 등 다양한 산업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기공구조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고, 기능성 촉매를 함침 시키는 등 물리/화학적으로 다양화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다만, 이러한 다양성은 다공체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바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공체의 구조적인 안정성, 즉 우수한 기계적 강도가 필수적이다. 다공성 구조를 만드는 방법 중 하나인 동결주조(Freeze-casting)방식은 슬러리를 준비하고 용매를 동결시킨 후 압력을 낮춰 승화 공정을 통해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슬러리 내 다공성 구조를 갖게한다.[1-3] 동결주조는 다른 다공성 구조 성형 방법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고, 일축 배향된 기공구조를 만드는 데 용이하며 공정 변수를 조절하여 다양한 기공구조를 형성할 수 있기에 여러 연구가 이뤄져왔다.[4,5] 분말로부터 동결주조로 성형한 다공체는 고온 열처리(소결)를 통해 치밀화 시키므로, 소결 중에 미세구조를 유리하게 재단해야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소결 중 일어나는 치밀화와 입자성장에 대한 미세구조 발현 현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지만, 동결주조에 대한 연구는 주로 내부의 기공구조를 다양화하는데 초점을 맞춰왔다.[4,5] 본 원고에서는 다공성 세라믹 제조공정 분야에서 그동안 미진했던 소결 미세구조 제어, 즉 치밀화 향상에 관한 최근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벌크에서 치밀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기 알려진 첨가제 등을 활용한 재료 변수의 제어[6-11] 및 Two-step sintering(TSS) 등의 공정 변수 제어를 병행하는 종합적인 접근을 제시한다.
다공성 구조의 소결 거동은 인접 입자의 수 (coordination number)에 따라 동결주조로 제조한 다공체의 이방성 치밀화 속도에 의해 벌크 재료의 거동과 다를 수 있지만,[12,13] 이전 연구에서 새로운 동결주조 방법으로 제조된 Al2O3의 치밀화 거동을 해석하기 위해 고전적인 벌크 이론인 Coble의 치밀화 모델[14]을 적용하여, 충분히 두꺼운 층상 벽(lamellar wall)을 가진 동결주조로 제조한 다공성 Al2O3의 치밀화 거동을 성공적으로 해석하고, 나아가 치밀화를 촉진하였다.[15] 즉, 저온에서 치밀화 지배기구로 작용하던 입계확산이 1500° C 이상에서는 격자확산으로 변화하는 것에 근거하여 각 치밀화 지배기구의 활성화 에너지를 도출하고, 두 지배기구 간 활성화 에너지 관계에 의해 TSS공정을 설계하였다.[15-17] 그 결과, 동결주조로 제조한 다공성 Al2O3 샘플에서 제어된 입자크기와 더 높은 밀도를 얻었으며, 그 결과로 기계적 강도가 높아지게 되었다.[16] 그 동안 Al2O3에서 미세구조 발현에 유리한 양이온 소결 첨가제로 Mg[17,18], Y[19,20], Zr[21,22], Ti[23,24] 등 많은 종류의 도펀트가 제안되어 왔는데,[25] 그 중 Ti 의 경우 +4가의 양이온을 가지는 소결 첨가제로, Hamano 등[26]의 연구에서 0.2-2 wt.%의 TiO2를 넣은 Al2O3 샘플에서 최대 98%의 밀도와 3.0 um의 입자크기를 갖는 샘플을 얻은 결과와 Kim 등[27]의 연구에서 0.05-5.0 wt.%의 TiO2를 넣은 Al2O3 샘플에서 최대 99.6%의 밀도와 6.0 um의 입자크기를 구현한 결과가 있다. TiO2가 Al2O3 격자에 치환 되면 다른 원자가 상태로 인해 Al의 공공(vacancy)이 형성되어 입계확산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28] TiO2가 Al2O3에서 입계에 편석 되었을 때 입계확산도를 높여 치밀화 속도를 크게 향상시키면서 입자의 치밀화 및 성장률을 향상시킨다.[26,29-31]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Yoshida 등[28]은 TiO2 첨가 시 Ti가 +4가의 원자가 상태를 유지하는 대기 분위기에서 소결되었을 때 치밀화가 촉진되는 것으로 밝혔는데, TiO2가 Al2O3 격자 내에 치환되면 전하 보상을 위해 Al의 공공이 형성되어 입계확산도가 증가하며, 이 과정은 Ti의 원자가 상태가 +4가에서 +3가으로 바뀌는 환원 분위기에서는 해당 효과가 유효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한편,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입자크기를 미세하게 제어하는 것이 또 다른 접근이 된다. 치밀화를 유지하며 입자성장을 제어하는 데 효과적으로 알려진 La2O3는[32,33] +3가의 원자가 상태를 가지는 소결 첨가제로, Helen의 연구에서 순수 Al2O3와 1000 ppm의 La이 첨가된 Al2O3는 99.2%의 밀도를 가지며 입자크기는 각각 2.1 um와 1.3 um로 La2O3를 도핑한 경우 약 62% 작은 입자크기를 얻었다.[32] 이러한 경향은 이전 연구에서 밝힌 대로 층 두께가 충분히 두꺼운 동결주조된 다공체에서도 효과적이다.[34] 게다가, 평균입자크기와 더불어 입자크기 분포 또한 기계적 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35-37] La2O3을 첨가한 Al2O3에서는 비정상입자성장 (Abnormal grain growth, AGG)이 흔히 관찰되므로[32,36], 이를 피해야 기계적 강도 측면에서 유리한 미세구조를 얻을 수 있다. TSS는 밀도(ρ)/입자크기(G)를 증가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도펀트 첨가 등 재료 설계적인 부분과 병행할 수 있는 공정 방법이다. 그 효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입자성장과 치밀화 각각의 지배기구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E a)를 계산하여 T1, T2를 도출했다. TSS를 위한 온도범위를 도출하여 비정상입자 (Abnormal grain, AG)의 형성을 피하면서 치밀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도펀트 및 공정변수를 동시에 제어하였다. 그 결과, La2O3의 첨가 효과로 순수 Al2O3 샘플에 비해 약 48.87% 작은입도를, TSS로 일반소결 (Conventional sintering, CS)에 비해 약 3-4% 정도 높은 벌크밀도를 얻었고, 압축강도가 ∼71.79% 향상되었다.
본 원고에서는 이러한 결과들을 요약하여 그 의미를 되짚어 보고, 향후 다공성 세라믹을 제조하는데 유리한 공정 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동결주조로 성형한 Al2O3의 소결 시 Ti와 La를 첨가하여 치밀화를 향상시켰던 최근 연구 동향을 리뷰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본론
2.1 TiO2 첨가효과
Al2O3는 α-Al2O3 (99.8% purity, AES-11C, Sumitomo Chemical Industry, Japan)를 구매하여 사용했으며, 해당 분말에는 Fe2O3 1000 ppm, SiO2 300 ppm, MgO 500 ppm, 그리고 Na2O3 400 ppm의 불순물이 기 첨가되어 있다. TiO2 분말을 첨가 후 Al2O3와의 균질화를 위해 터뷸러 믹서로 섞어주었다. 이후 동결주조를 위해 10 ml의 Di-water와 11.85 g의 분말 (TiO2 0, 1, 1.5 wt.%가 도핑 된 Al2O3 분말), 바인더 (Polyvinyl alcohol; MW: 9,000-10,000) 0.1185 g, 분산제 (DARVAN C-N) 0.1185 g을 magnetic bar를 이용하여 310 RPM으로 80° C 에서 40분간 균질화 및 혼합해 주었다. 이후 균질화된 슬러리를 원통형 실리콘 내부에 장입 후 동결주조하여 동결건조까지 진행한 다음 1400-1600° C의 온도 범위에서 30분에서 2시간 동안 소결 후 각 샘플들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Fig. 1. a 는 동결주조의 전반적인 과정을 보여주는 모식도로, 균질화된 슬러리를 여러 개의 실리콘 몰드(직경 20 mm) 내부에 장입하여 동시에 동결주조로 다공체를 성형하는 과정을 묘사한다. 그 결과, SEM 사진과 같이 일축배향된 기공구조가 형성된다. 동결주조된 다공체의 수축거동 측정을 위해 사용한 laser dilatometer (LS-9000, KEYENCE, Japan) 장치의 모식도를 Fig. 1. b 에 나타내었다.
Fig. 2는 TiO2 함량에 따른 다공체의 층상 벽 구조의 SEM사진으로, 동결주조된 다공체의 층상 벽이 기계적 강도를 결정하는데 이는 다른 다공성 제조방식과 구별되는 일축으로 잘 정렬된 내부 구조를 보여준다. 이러한 층상 기공구조에서는 입자크기와 밀도가 기계적 강도를 결정짓는 주요한 미세구조적 요인이며, 유리하게 재단해야 한다. 입자크기와 관련하여 Fig. 2에서는 TiO2의 함량 및 소결 온도에 따라 이미지를 배치하였으며, 해당 조건에서 bi-modal 한 분포를 가지는 AGG거동을 보이는 입자들이 발견되었다. 동시에 Fig. 2. a와 Fig. 2. d에 화살표로 표시된 것처럼 순수한 Al2O3 다공체에서 1500°C와 1600°C에서는 몇몇의 크게 자란 입자가 보였으며, 1400°C에서는 눈에 띄는 입자성장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전 문헌[17]의 결과를 고려하였을 때, 해당 저자는 1400°C에서 최대 8시간까지 정체된 입자성장 (Stagnant grain growth, SGG)거동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Fig. 3 은 TiO2 를 첨가하지 않은 시편 (0Ti)과 1.5 wt.% TiO2 를 첨가한 시편 (1.5Ti)에서 Al2O3 입자 표면과 입계구조를 보여주는 SEM 및 TEM 사진이다. Fig. 3. a 에서 볼 수 있듯 두 경우 모두 각각 다른 스케일에서 각진(facet) 구조를 관찰할 수 있으며, 보다 잘게 각진 계면(micro facets)이 발달한 면들(facets) 사이에 위치한다. Fig. 3 에 함께 나타낸 γ-plot 으로 해당 계면구조의 형성을 설명할 수 있다. 즉, 계면 에너지의 이방성으로 인해 특정면(facet)이 발달하여 결국, 거시적인 평형 입자 모양을 결정짓는데,[12,17,38,39] 이방성의 정도에 따라 γ-plot 에 서로 다른 깊이의 뾰족한 끝(cusp)이 놓이고, 그에 따라 입계에서 각진 구조의 비율이 달라진다. 이는 TiO2 첨가 여부와 관계없이 각진 입계에서 발생하며, Fig. 2 에 나타난 AGG 거동과 관계가 있다. 지금까지 많은 조건에서 AGG 거동은 최대성장구동력과 입자가 성장하기 위해 극복해야 할 임계성장구동력 사이의 상관관계로 설명되어 왔으며,[12] 속도론 측면에서 입계 이동의 율속단계는 입계구조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각진(Faceted) 입계가 거친(rough) 입계와 달리 입자성장 속도가 계면 반응에 의해 제어되고, 거친 입계보다 더 큰 임계성장구동력이 필요하다. 또한, 선택적입자성장 조건에서 임계성장구동력보다 더 큰 성장구동력을 가진 소수의 입자들만 성장하게 되는 AGG거동이 발생할 수 있다.[40] 임계성장구동력은 각진 입계의 비율에 따라 달라진다고 잘 알려져 있으며,[41] 각진 입계의 비율이 높을수록 임계성장구동력이 증가하는데 이는 도펀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5,28] 다른 원자가 상태를 가진 도펀트 원자(대부분 도너)가 기지상(matrix) 원자 내부에 첨가되면 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공공의 농도도 증가하여 엔트로피 증가에 기여할 수 있다.[12] 이로 인해 입계가 각진 구조에서 거친구조로 구조적인 변화가 발생할 수 있고, 임계성장구동력이 감소하므로, 입자성장 거동이 SGG 에서 AGG, 그리고 정상적인 입자성장 (Normal grain growth, NGG) 단계로 변화할 수 있다.[12,42] 본 연구에서는 치밀화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예상하여 TiO2 를 첨가제로 사용했다. Ti 는 치밀화를 촉진하여 입계확산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26,29] 이는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T i O 2 → T i ' A l + 1 / 3 V A l ' ' ' + 2 O o , 이때, Ti 는 +4 의 원자가 상태를 유지해야 위의 조건을 만족한다.[43]
Fig. 4 은 임계성장구동력과 최대성장구동력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 효과를 보여준다. 이전 연구[28,31]에서 확인된 것처럼 모든 Ti 원자가 Al2 TiO5 를 형성(3 wt.% 이상일 때[27])하고 입계 부근에서 편석되는 것과는 반대로 Al2O3 격자에 치환된다고 가정하면 Al 공공의 농도가 배열 엔트로피(configurational entropy)에 의해 증가하여 Fig. 4 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것처럼 입계가 거칠게 변한다.[12] 임계성장구동력의 감소와 함께 모든 온도 범위에서 이러한 입계구조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평형입자 모양은 각진 정도에 따라 더 높은 곳에서 더 낮은 곳으로 이동하게 된다. 1Ti 와 1.5Ti 의 경우, 임계성장구동력은 아래의 관계식 (1)에 의해 결정되며, Al2O3 기지상(matrix phase)의 입자성장구동력 보다 낮을 것이다.
여기서 Δgc는 임계성장구동력(critical driving force), Vm 은 고상의 몰부피, ε는 step free energy, h 는 2 차원 핵의 높이, k 는 볼츠만 상수, T 는 절대온도를 나타낸다.[42] 선택적입자성장은 임계성장구동력에 비해 성장에 대한 구동력이 높은 입자와 낮은 입자가 공존할 때 생기는데, Fig. 4 에서 입자성장률의 온도 의존성을 보게 되면 모든 TiO2 농도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임계성장구동력이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TiO2 첨가의 효과와 소결 온도의 효과는 임계성장구동력과 최대성장구동력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 관계로 설명할 수 있으며, 성장할 수 있는 입자의 수는 TiO2 함량과 소결온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그러나, 실험 결과는 선택적으로 성장한 입자의 크기 측면에서 입자성장 이론과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Fig. 2 에서 1500° C 이상의 범위에서 입자크기는 TiO2 함량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Fig. 4. a 와 유사할 것으로 예상되며, 성장률과 입자성장구동력 사이의 선형관계를 보여주는데, 예를 들면 최대성장구동력을 가진 가장 큰 입자는 TiO2 함량에 관계없이 일정한 성장 결과를 보여줬을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입계구조의 변화 외에도 TiO2 의 또 다른 기여를 의미하며, 실제로 TiO2 도핑에 의한 치밀화는 입계를 따라 확산을 촉진한 결과로 간주되어 왔다.[28] 공공이 빠른 확산 경로를 제공한다는 일반적인 사실을 고려할 때, 확산속도 향상과 입계구조의 변화가 동시에 발생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이로 인해 Table 1 에 나열된 것처럼 TiO2 농도에 따라 벌크(bulk) 밀도가 향상되었다. 1400° C 에서 2시간 동안 소결한 1 Ti 다공체의 벌크 밀도는 0 Ti 시편과 비슷했지만(0 Ti: 36.02%, 1 Ti: 36.07%), 1.5 Ti 시편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높은 밀도(41.76%)를 얻었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효과는 1500 및 1600° C 의 더 높은 온도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오히려 TiO2 의 농도가 증가할 때 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동일한 Al2O3 분말을 사용한 Kim[27]의 연구에서도 동일한 경향이 관찰되었는데, TiO2 첨가 효과는 1400° C 에서만 유의미하다고 보고했다. 치밀화의 온도 제한적인 향상에 대한 가능한 설명은 치밀화 메커니즘의 변화를 다룬 이전 연구에서 찾을 수 있다.[15] 본 실험에서도 동일한 변화가 일어났다고 가정하면, 입계확산을 통해서만 Ti 로 유도한 치밀화 향상이 가능할 것이고, 이 이론을 Al2O3 에서 Ti 의 입계 편석과 함께 고려하면, 치밀화에 필요한 또 다른 조건, 즉 지배적인 치밀화기구의 확산 경로와 공간 분포의 일관성을 분명히 보인다.
Table 1.
Sintering temperature (℃) | Sintering time (h) | Bulk density (%) | ||
---|---|---|---|---|
0 Ti[17] | 1 Ti | 1.5 Ti | ||
1400℃ | 0.5 | 33.78 | 34.02 | 39.67 |
1 | 34.52 | 34.68 | 40.34 | |
2 | 36.02 | 36.07 | 41.76 | |
1500℃ | 0.5 | 38.33 | 36.33 | 37.99 |
1 | 40.81 | 37.10 | 38.94 | |
2 | 41.02 | 38.57 | 39.77 | |
1600℃ | 0.5 | 44.14 | 37.86 | 42.49 |
1 | 45.04 | 38.56 | 42.84 | |
2 | 45.58 | 39.79 | 43.32 |
2.2 La2O3 첨가효과
La2O3가 Al2O3에 도펀트로 첨가되면 소결 시 Al2O3의 치밀화를 방해하지 않으며 입자성장을 제어하는 역할로 작용한다.[33] Fig. 6은 Al2O3에 La2O3가 250 ppm 첨가된 동결주조 시편을 소결한 후 미세구조를 보여주는 μ - CT 사진들(Fig. 6. a,b)과 층상 기공구조 및 입자구조를 보여주는 SEM 사진들(Fig. 6. c,d)이다. μ - CT에서 볼 수 있듯이 샘플은 동결 방향에 따라 일축 배향된 기공구조를 가진다. 또한, 바닥으로부터 20.5%에 해당하는 높이까지 응집체가 보이며, Cold finger와 맞닿은 바닥면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영역에서는 유사한 다결정 계로 이루어진 층상 벽으로 구성된다. 동결주조 소결체의 입자크기에 비해 시편 내 한 층은 충분히 두꺼우므로 입자계(grain system)는 bulk system과 동일하며 벌크에서 정립된 입자성장 및 치밀화 이론을 적용할 수 있다.[14,15,34,45,46] 이러한 근거에 기반하여 벌크에서 통용되는 다음 식 (2)을 적용하여 입자성장 거동을 속도론적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다.
G0는 소결 전 평균 입자크기를 Gt 는 소결 시간 t 이후 및 평균 입자크기를 나타내고 n은 입자성장 지수(exponent), k는 온도 의존성이 있는 속도 상수를 의미한다. 1400-1600° C의 온도에서 n 값을 임의로 2, 2.5, 3으로 각각 적용하였고 exponent(n 값)가 3일 경우 가장 높은 선형도를 보이며, 순수한 물질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대로 n 값이 2에 이른다.[33] 이는 도펀트가 첨가된 계에서 입자성장 속도가 감소함을 의미한다. La2O3가 첨가된 Al2O3 계의 입자성장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E a)를 구하기 위해서는 식 (2)에서 얻어진 속도 상수인 k의 지수 함수적인 온도 의존성으로부터 도출할 수 있다. 온도 의존성은 다음 식 (3)로 표현된다.
k0는 온도와 무관한 상수(frequency factor)이고 Ea는 활성화 에너지, R은 기체상수, T는 절대온도를 의미한다. 치밀화 및 입자성장을 이롭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소결이론[14]에 근거해야 하며 도펀트를 사용하는 경우 그 종류와 양이 매우 중요하므로 도펀트 첨가량에 따른 치밀화 촉진 거동을 관찰하고 최적의 첨가량을 도출하여야 한다. Fig. 7은 La2O3 함량에 다른 치밀화에 대한 E a 값을 나타내는 치밀화 속도와 1/T(reciprocal temperature)의 관계이다. E a의 증가는 입계확산 속도를 늦추게 되므로 La2O3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치밀화가 지연되며, La2O3가 250 ppm 첨가되었을 때 치밀화에 의한 밀도 증진이 되는데 필요한 E a가 92.29 kJ/mol로 가장 작으므로 치밀화 속도가 가장 빠르다.
한편, 입자성장에 필요한 Ea는 489.09 kJ/mol로[34] Fig. 8에 확산에 기반하는 입자성장과 치밀화의 기울기를 나타내었고 이는 두 현상의 속도가 갖는 온도 의존성을 나타낸다. Fig. 8에 나타난 각 온도 영역에서 속도론 적으로 우세한 현상을 구별할 수 있고, 1400° C에서는 상대적으로 느린 입자성장으로 치밀화가 진행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다공성 구조체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치밀화와 함께 미세구조를 제어해야 한다. 이들은 소결 중 일어나는 입자성장 양상에 의해 달라지므로 도펀트의 첨가량과 소결 온도 등의 변수에 따른 입자성장 거동을 이해하고, 나아가 변수의 제어로 이로운 입자성장 양상을 구현해야 한다. Fig. 9는 250 ppm 의 La2O3가 첨가된 다공성 Al2O3 시편의 소결 온도와 시간에 대한 미세구조 SEM 사진이다. 소결 온도와 시간에 따라 평균입자크기가 지속적으로 커지는 NGG거동과는 확연히 다른 양상이 드러난다. 1400° C에서는 8시간까지 미미한 입자성장을 하다 64시간이 되어서야 AG 가 관찰된다. 1500°C의 경우 8시간 소결 한 시편에서, 1600° C의 경우 1분부터 AGG거동이 관찰된다. 이는 1500° C에서는 약 2시간 이상 AG의 생성 소요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반면 1600° C에서는 1분부터 AG가 관찰되므로 AG가 생기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빨라지는 원인은 입자성장 이론에서 볼 수 있다.[14,47,48]
입계구조 측면에서 입계구조가 각진(faceted) 경우 AGG, 거친(rough) 경우 NGG가 일어난다. 이러한 입계구조의 의존성은 소결 시 각 입자들이 갖는 성장구동력 (Δ g)과 임계성장구동력 (Δ g c)간의 상대적인 효과에 의해 각 입계의 이동속도(v)를 지배하는 속도 결정단계가 달라지는 데 영향을 미치며[41,42,49] 입자성장구동력 (Δ g)은 식 (4)으로 표현되며 가장 큰 입자가 가장 큰 최대성장구동력 (Δ g max)을 갖는다.
여기서, Δ g는 입자성장구동력, γ는 계면 에너지, Vm 은 몰부피, r ¯ 는 입자가 커지거나 줄어들지 않는 입자 반경이다. Δgc은 뚜렷한 입자성장이 일어나기 위한 임계 값으로 식 (1)로 표현된다.
입계가 각질수록 step free energy (ε)는 증가하여 임계성장구동력 (Δ g c)이 커지게 되고, 개별 입자들이 임계성장구동력 (Δ g c)보다 클 때 확산 지배(diffusion control)로 인한 NGG거동을 보이지만 임계성장구동력 (Δ g c)보다 작은 입자들은 입계의 이동속도가 거의 0에 가까워진다. 이 경우에는 계면 반응(interface reaction)이 입계 이동속도를 결정한다. 결국, 선택적인 입자성장에 의해 AGG거동이 일어난다. 이를 요약하여 Fig. 10. a에 모식도(schematic illustration)로 표현했다. Fig. 10. b에 나타난 각진 입자들이 La2O3를 첨가한 Al2O3 계에서도 잘 드러나며 이는 소결 시 전형적인 AGG거동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온도가 높아질수록 AG가 생기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빨라지는 것은 식 (1)에 나타난 임계성장구동력 (Δ g c)의 온도 의존성에 기인하며[49], Fig. 10. a와 같이 온도가 증가하면 임계성장구동력은 감소하고 확산속도가 증가하므로 선형부의 기울기는 증가한다. 1400-1500° C의 소결 초기 부분에서는 입자들이 거의 자라지 않는 SGG거동을 보인다. 이는 Δ g max < Δ g c의 관계로 이해할 수 있고, 소결이 진행되면서 Δ g max는 증가하고 몇몇 입자들이 Δ g c를 초과하면 AG로 자란다. SGG가 AGG으로 전환되는 현상은 여러 차례 보고된 바 있다.[42,49] 반면, 1600° C에서는 온도에 의해 줄어든 Δ g c로 Δ g max < Δ g c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1600° C에서는 소결 초기부터 다수의 입자가 AG로 자란다.
위 내용에 기반하여 TSS의 조건을 도출하였다. T1의 경우 1500° C 2시간 이내로 소결하여 SGG거동이 유지되게 하여 AG가 생기는 것을 피하면서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빠른 확산에 의해 밀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50] T1 이후 AG 없이 작은 입도를 유지한 후 곧바로 온도를 내려 T2에서 입자성장 대비 더 활발한 치밀화를 기대하며 낮은 온도에서 오랜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치밀화를 극대화하였다.
Fig. 11은 TSS 및 CS로 얻은 시편의 밀도 대비 입자크기의 비율(ρ/G)을 나타낸다. CS의 경우 1400° C (CS-1400로 표기), 1500° C (CS-1500 로 표기), 그리고 1600° C에서 소결 시간에 따른 ρ/G의 변화 양상을 볼 수 있고 TSS의 경우 T2가 각각 1380, 1400° C일 때 얻어진 ρ/G값을 비교할 수 있다. CS에서 1500° C 2시간 소결한 경우 38.56 %/0.82 um를, 1600° C에서 2시간 소결한 후에는 각각 40.78% 및 1.78 um를 얻었다. 게다가, TSS 의 경우 T2가 1380°C일 경우 41.09%/0.89 um, 1400°C 일 경우 41.43%/0.87 um를 얻어 높은 ρ/G값을 가지므로 Fig. 11에서 구별되는 영역에 놓인다.
Fig. 12는 소결 조건에 따른 압축강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TSS-1400 (T2에서 96시간 유지) 시편의 압축강도가 5.46 MPa로, CS-1500의 3.92 MPa에 비해 약 2.44배 증가하는 TSS의 이점을 입증하였고, Fig. 11 및 Fig. 12에 나타낸 정보를 구체적인 수치로 Table 2에 요약하였다. 명백하게, CS와 비교하여 TSS를 한 시편에서 높은 밀도, 작은 입자크기, 그리고 더 높은 기계적 강도를 얻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La2O3의 첨가와 TSS 의 시너지 효과로 입자크기 미세화와 밀도향상을 동시에 구현하였다.
Table 2.
결론
필터 및 촉매 담체, 내열재, 구조체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공성 Al2O3의 미세구조를 유리하게 재단하기 위해 TiO2와 La2O3를 첨가한 문헌을 살펴보았다. TiO2를 첨가한 경우에선 기존보다 낮은 온도에서 높은 상대 밀도를 얻는 데 성공하였으며, La2O3를 첨가한 경우에선 TSS를 도입하여 소결 중 입자성장을 억제하여 최종 입자크기를 줄이고 치밀화를 촉진하여 밀도를 향상함으로써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켰다.
TiO2를 저온에서 소결했을 시 밀도 측면에서 유리한 TiO2 함량을 도출하고 TiO2가 첨가된 다공성 Al2O3 입계에서의 Ti 편석 현상을 치밀화 메커니즘과 연결하며 온도에 따른 치밀화 거동을 관찰했다. 1-1.5 wt.% 범위의 TiO2를 첨가하여 동결주조 다공성 Al2O3에서 AGG거동은 각진 입계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기존 벌크 상태에서의 입자성장 이론과 일치하는 결과였다. 그러나, AG 의 크기는 예상했던 입자성장과 달리 TiO2의 양에 따라 다양했다. 이러한 편차는 치밀화 거동에서 드러나는 TiO2 첨가의 또 다른 효과를 시사하며, 1400° C에서 2시간 소결된 조건에서 도핑 되지 않은 시편의 상대 밀도 36.02%에 비해 TiO2를 1.5 wt.% 첨가한 시편은 더 높은 41.76%의 상대 밀도를 얻었다. 하지만 1500° C 이상의 조건에선 TiO2가 첨가됨에 따라 소결 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러한 온도 의존성은 기존에 잘 알려져 있는 Ti의 편석 거동과 Al2O3에서 지배적인 치밀화 메커니즘의 변화로 이해할 수 있다. 입계확산이 전체 치밀화 속도를 지배할 때 TiO2를 첨가하면 치밀화가 향상될 수 있었는데, 이는 Ti에 의한 공공의 형성이 주로 입계에서 발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공공이 풍부한 영역과 지배적인 치밀화 경로 사이의 일관성은 각진 입계에서도 빠른 치밀화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이며, 저온 소결에서 빠른 치밀화를 요구하는 Al2O3계에서의 도펀트 선택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La2O3를 입자성장과 밀도 측면에서 유리한 La2O3 함량을 도출하고 La2O3가 첨가된 동결주조 다공성 Al2O3의 층상 벽에서 전형적인 AGG거동을 관찰했다. 기존 입자성장 이론에 기반하여 AG 생성을 피할 수 있는 소결 조건을 TSS를 통해 도출하였는데, 이는 입자성장 및 치밀화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를 비교하여 TSS의 T1과 T2를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TSS에서는 입자크기가 0.866 um 와 상대 밀도 41.43%를 얻었는데, 이는 일반 소결의 입자크기 1.78 um 와 상대 밀도 40.78%에 비해 더 미세한 입자와 높은 밀도를 동시에 얻을 수 있었다. 위 효과로 인해 기계적 강도는 244% 향상되었으며, 기존의 소결 이론이 다공성 Al2O3에 대한 적용성을 증명하면서 향후 다공성 세라믹의 치밀화 촉진에 활용 가능한 방법론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