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si-1D M2N3Se8 (M2N3S8) 소재합성 및 응용기술

Quasi-1D M2N3Se8 (M2N3S8): Synthesis and applications

Article information

Ceramist. 2022;25(4):372-380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December 31
doi : https://doi.org/10.31613/ceramist.2022.25.4.01
1Dept. of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Ajou University Worldcup-ro 206, Suwon, 16499, Korea
류학기1,
1아주대학교 신소재공학과
Corresponding Author: hakkiyu@ajou.ac.kr
Received 2022 October 15; Revised 2022 November 5; Accepted 2022 November 9.

Trans Abstract

2D material research, which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recently, has had an impact on 1D material research and development through the concept of related material expansion. Although 1D nanowire materials are expected to fuel advances in electronic applications, there is still much to be explored in terms of material diversity. We would like to introduce a variety of quasi-1D materials based on vdW (van der Waals) bonding having a chemical composition of M2 N3 Se8 (M2 N3 S8), which is being studied recently. We would like to explain the polymorphism structure and device application characteristics that can occur during the synthesis materials, and the possibility of band-gap engineering through alloying of M and N transition metals and Se-S substitution. Through this, we intend to propose various possibilities of application of the quasi 1D M2 N3 Se8 (M2 N3 S8)material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1. 서론

그래핀,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 (TMDC), h-BN, 흑린 (black-phosphor)와 같은 2차원 (2D) 적층 물질은 구조적,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기존 3차원 소재와 다른 특이성을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다. 특히, TMDC와 흑린은 구조적 확장성, 두께 의존적 밴드갭, 우수한 전하 캐리어 이동성 및 스위칭 성능을 바탕으로 차세대 반도체 소자 및 광전자 소자 분야에서 널리 연구되고 있다.[1] 또한, 2D 재료에 대한 연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뛰어난 확장성과 dangling bond가 없는 표면을 비롯한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1차원 (1D) 반 데르 발스 (van der Waals: vdW) 재료 탐사에 대한 광범위한 관심이 유발되었다.[2]예를 들어, 화학식 MX3의 준-1D 물질로 분류되는 전이금속 트리칼코게나이드(TMTC)는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에서 나타나는 강한 이방성으로 인해 1D-vdW 기반 물질 중 가장 많이 연구되는 부류이다. 특히, TiS3 나노와이어는 1 eV의 직접 밴드갭을 가지며, 높은 전자이동도(~70 cm2 V-1 s-1)와 광반응도(~3000 A W-1)를 나타내어 전자 및 광전자공학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3]

TMTC 외에도 Te, Nb2 Se9 및 Sb2 X3(X = S 또는 Se)와 같은 다른 1D-vdW 재료는 전송 특성을 저하시키는 전하 캐리어 산란 사이트인 가장자리와 표면에 dangling bond가 없는 구조적 이점이 있다.[4] 또한, 1D-vdW 재료 중 일부는 간접 밴드구조에서 직접 밴드구조로의 전이와 함께 두께 의존적 밴드 갭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이론적으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측면을 바탕으로 1D 나노와이어 재료는 전자 응용 분야의 발전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재료의 다양성 측면에서는 아직 탐구해야 할 사항이 많다.

최근 몇 년 동안 Pd 또는 Pt와 같은 귀금속을 포함하는 삼원 1D 전이 금속 칼코게나이드가 전자 및 광전자 장치의 유망한 반도체 재료로 주목받고 있다. 예를 들어, Ta2 Pd3 Se8과 Ta2 Pt3 Se8은 리본형 단위 구조간 약한 vdW 결합을 통해 결정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제작된 FET는 높은 이동성과 우수한 스위칭 거동 특성을 가지는 n형 (Ta2 Pd3 Se8) 및 p형 (Ta2 Pt3 Se8) 반도체 소재이다.[5] 이러한 귀금속 전이금속을 포함하는 나노와이어 재료는 인상적인 소자 성능 뿐만 아니라 제작된 소자의 견고함을 나타내는 뛰어난 공기 안정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나노와이어 재료의 발견은 나노 전자 응용 분야에서 고성능 및 안정적인 장치를 개발할 수 있는 잠재적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최근 연구되고 있는 M2 N3 Se8 (M2 N3 S8) 화학 조성을 가지는 vdW 결합 기반의 다양한 Quasi-1D 소재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소재의 합성과 합성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동질이상 구조 그리고 소자 응용 특성 결과에 대해 설명하고, M, N 전이금속의 합금화 및 Se-S 치환을 통한 band-gap engineering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Quasi 1D M2 N3 Se8 (M2 N3 S8) 소재 체계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2. 본론

2.1 Nb2 Pd3 Se8

새로운 삼원소계 전이 금속 칼코게나이드 Nb2 Pd3 Se8는 transport agent로 요오드를 사용하여 화학적 증기 수송(Chemical Vapor Transport: CVT) 방법을 통해 성공적으로 합성되었다.[6] 단일 또는 소수 층 1차원 리본구조 Nb2 Pd3 Se8 나노와이어가 반복 단위 구조 간의 약하게 결합된 vdW 상호작용으로 인한 미세 기계적 박리에 의해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이 처음으로 입증되었다. DFT 계산을 통해 이 두께 확장이 가능한 Nb2 Pd3 Se8 소재가 벌크에서 0.44eV의 간접 밴드 갭을 가지지만, 단일 리본에서 0.73eV의 직접 밴드 갭을 갖는 반도체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자소자에의 적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박리된 Nb2 Pd3 Se8 나노와이어에 FET를 제작하여 전기적 수송 특성을 평가하였을 때, 31 cm2 V-1 s-1 의 높은 n-type 이동도와, 104 이상의 우수한 I on/I off ratio 특성을 보여주었으며 대기에서 60일 이상 방치후에도 이러한 특성이 유지됨이 확인되었다. 또한 Nb2 Pd3 Se8 FET가 실온과 저온 90K에서 모두 Au 금속에 대해 안정적인 Ohmic 접촉을 나타내며 매우 낮은 쇼트키 장벽을 형성함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Nb2 Pd3 Se8은 나노전자소자 응용을 위한 유망한 1D-vdW 재료로서 큰 잠재력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Fig. 1.

Nb2 Pd3 Se8 구조와 FET 소자 특성에 기인한 전하 이동도[6]

단위 리본 사이의 약한 반 데르 발스(vdW) 힘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일반적인 적층 2차원 재료와 유사한 벌크 결정에서 고품질 Nb2 Pd3 Se8 나노와이어를 분리할 수 있는데, 기계적 박리가 아닌 용액상에서의 효율적인 분산 (Liquid Phase Exfoliation: LPE)을 위해 표면 장력 및 극성/분산 성분 비율 측면에서 최적의 용매를 찾는 실험이 진행되었다.[7] 다양한 시험 용매 중에서 N-methyl-2-pyrrolidone과 dimethylformamide는 Nb2 Pd3 Se8 나노와이어의 박리 및 안정화에 가장 적합한 용매로, 총 표면 장력과 극성/분산 성분 비율이 잘 일치하기 때문이다. LPE 처리된 Nb2 Pd3 Se8 나노와이어를 사용하여 FET를 제조하고 상온에서 전하 수송 거동을 측정하였을 때, 약 103의 I on/I off 비율과 최대 15 cm2 V-1 s-1의 전계 효과 이동도를 갖는 n형 특성을 나타내었다. 새로운 Nb2 Pd3 Se8 나노와이어의 LPE에 대한 이 연구는 나노전자공학에서 다양한 실제 응용을 향한 중요한 단계가 될 것이다.

2.2 Ta2 Pt3 Se8

M2 X3 Y8 재료 클래스의 또 다른 구성원(여기서 M = Ta, Nb, X = Ni, Pd, Pt, Y = S, Se)인 Ta2 Pt3 Se8p-형 반도체로서의 유망한 전기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덜 연구 되었다. 고품질 Ta2 Pt3 Se8 단결정은 성장 반응 동안 수송제 역할을 하는 과량의 Se와 1단계 증기 수송 반응을 사용하여 합성될 수 있다.[8] 전자 밴드 구조 계산에 따르면 벌크 Ta2 Pt3 Se8의 직접 밴드 갭은 0.68 eV이며, Scanning Kelvin Probe Microscope (SKPM) 분석을 통해 Ta2 Pt3 Se8의 일함수가 층간 스크리닝 효과로 인해 단위 리본 수가 감소함에 따라 작아짐이 확인되었다. 개별 박리된 Ta2 Pt3 Se8 나노리본으로 제작된 FET 는 최대 정공 이동도가 5cm2 V-1 s-1이고 Ion/Ioff 비율이 >104인 p형 특성을 나타낸다. 온도 의존적 수송 연구에 따르면 Ta2 Pt3 Se8에서 전하 운반체의 수송은 각각 170K 이상과 이하의 온도에서 열이온 방출과 터널링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Ni/Ta2 Pt3 Se8 계면에서 형성된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Schottky Barrier Height (SBH) 값(23 meV)은 SKPM을 사용하여 측정한 일함수의 결과와 잘 일치함도 연구되었다. 마지막으로, Ta2 Pt3 Se8 FET는 전자빔 조사를 사용하여 전형적인 n형 반도체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1D 재료 기반 나노전자공학에서 Ta2 Pt3 Se8의 활용에 대한 다양한 관심을 유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Fig. 2.

Nb2 Pd3 Se8 화학적 박리를 위한 최적 용매 구성 및 실험 결과[7]

Fig. 3.

Ta2 Pt3 Se8 결정 구조 및 합성 소재의 TEM 결과 및 p형 반도체 특성[8]

Fig. 4.

Ta2 Ni3 Se8 결정 구조 및 합성 소재의 ambipolar형 반도체 특성[9]

2.3 Ta2 Ni3 Se8

최근, 탄탈륨, 니켈, 셀레늄의 화학양론적 비율과 성장 온도를 조절하여 고순도의 센티미터 단위 벌크 Ta2 Ni3 Se8 결정이 얻어질 수 있음이 최초로 보고되었다.[9] 벌크 Ta2 Ni3 Se8 결정은 간단한 기계적 박리 및 액상 박리를 통해 몇 개의 사슬 규모 나노와이어로 효과적으로 박리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전자 밴드 구조의 계산을 통해 Ta2 Ni3 Se8이 밴드 갭이 작은 반도체 물질임 (~0.5 eV 내외)이 확인되었다. FET는 기계적으로 박리된 Ta2 Ni3 Se8 나노와이어를 활용하여 제작되었으며, 실온에서의 수송 측정은 Ta2 Ni3 Se8 나노와이어가 전자와 정공에 대해 각각 최대 이동도가 20.3 및 3.52 cm2 V-1 s-1인 양극성(ambipolar) 반도체 거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에 따른 전하 수송 측정(90 ~ 295K)을 통해 Ta2 Ni3 Se8 나노와이어의 캐리어 수송 메커니즘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볼 때 새롭게 합성된 Ta2 Ni3 Se8 1D vdW 재료는 새로운 FET 채널 재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3성분 1차원 칼코게나이드 물질인 Ta2 Ni3 Se8의 동질이상이 발견되었다. X-선 회절 및 투과전자현미경 분석을 통해 새롭게 확인된 화합물(T-Ta2 Ni3 Se8)의 정방정상이 기존에 보고된 사방정계상(O-Ta2 Ni3 Se8)과 다른 결정구조를 가짐을 확인하였다.[10] 기존의 O-Ta2 Ni3 Se8은 양극성 특성을 갖는 반도체 재료인 반면, T-Ta2 Ni3 Se8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전기저항이 약간 증가하는 금속성 특성을 보였다. 결정계(사방정계에서 정방정계)의 변환에 따른 격자 등방성의 변화로 인한 전기적 특성의 변화는 향후 다성분 저차원 물질의 다형성 연구에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Fig. 5.

Ta2 Ni3 Se8 의 동질 이상 합성 및 X-ray 회절 결과[10]

Fig. 6.

Ta2 Ni3 S8 의 동질 이상과 Ta2 Ni3 Se8 비교[11]

2.4 Ta2 Ni3 S8

이러한 동질이상에 관한 물질 연구는 최근 연구된 1차원 칼코게나이드 물질인 M2 N3 X8 계열 중 하나인 Ta2 Ni3 S8의 새로운 구조를 통해서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반도체 특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사방정계 상의 Ta2 Ni3 S8과 달리 정방정계 상의 Ta2 Ni3 S8은 금속성 물질 특성을 나타냈다. X-선 회절을 통한 구조 분석은 정방정계 Ta2 Ni3 S8 (T-Ta2 Ni3 S8)이 정방정 Ta2 Ni3 Se8 (T-Ta2 Ni3 Se8)과 동일한 구조를 가짐이 확인되었으며, 유일한 차이점은 격자 상수였다. 또한 원소 분석을 통해 Ta:Ni:S 원소의 비율이 2:3:8임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동질이상 연구는 M2 N3 X8 계열 소재를 기반으로 밴드갭 튜닝 및 격자 정합 전극 설계를 적용하여 다양한 전자소자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연구로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2.5 Alloys of M2 N3 X8

3성분 vdWs 1D 재료 (Ta2 Ni3 Se8, Ta2 Pt3 Se8, Nb2 Pd3 Se8) 합금의 합성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Ta2 Ni x Pd3-x Se8, Ta2 Ni x Pt3-x Se8, Ta2 Pd x Pt3-x Se8을 합성했으며, Ni:Pd의 원자비 :Pt를 1:3, 1:1, 3:1로 조정하여 순수한 상의 X선 회절 패턴과 비교 실험이 진행되었다.[12] 그 결과, 원자비의 변화에 따라 순수한 상에 나타나는 피크들 사이에서 주피크의 위치가 변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른 상 패턴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EDS mapping에서도 합성에 사용된 전이금속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비율도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3성분계의 vdWs 1D 소재 합금의 상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합성에 사용된 3-성분 1D 재료는 다양한 반도체 특성(Ta2 Ni3 Se8: ambipolar, Ta2 Pt3 Se8: p-type, 및 Nb2 Pd3 Se8: n-type)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보다 상세한 재료 특성 분석은 합성 합금 재료의 박리를 통한 소자 제작을 통해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Fig. 7.

a-c. Ta2 Ni x Pd3-x Se8, Ta2 Ni x Pt3-x Se8, and Ta2 Pd x Pt3-x Se8의 X회절 페턴, d-f. Ta2 Ni1.5 Pd1.5 Se8, Ta2 Ni1.5 Pt1.5 Se8, and Ta2 Pd1.5 Pt1.5 Se8 의 SEM 및 EDS 원소 분포[12]

3. 전망 및 결론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1D 나노와이어 재료는 전자 응용 분야의 발전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재료의 다양성 측면에서는 아직 탐구해야 할 사항이 많다. 최근 연구되고 있는 M2 N3 Se8 (M2 N3 S8) 화학 조성을 가지는 vdW 결합 기반의 다양한 Quasi-1D 소재에 대해 최근 연구 동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소재의 합성과 합성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동질이상 구조 그리고 소자 제작을 위한 물리적 혹은 화학적 박리 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균일한 크기 박리 및 박리된 1D 소재의 균이 배열에 관해서는 보다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또한 M, N 전이금속의 합금화 및 Se-S 치환을 통한 band-gap engineering 가능성에 대한 기초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소자 제작을 기반으로 정확한 물성 분석을 통해 이러한 원소 별 band-engineering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관련된 지속적인 연구 및 개선을 통해 M2 N3 Se8 (M2 N3 S8) 조성군의 1차원 소재가 전자소자 뿐만 아니라 다양한 촉매 및 광전소자의 응용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ferences

1. Oh S., Chae S., Choi K. H., Kim B. J., Lee S. H., Wang C., Liu Z., Jeon J., Lee J.-H., Yu H. K., Choi J.-Y.. 2019;Large-scale synthesis of van der Waals 1-dimensional material Mo6S3I6 by using a MoI2 precursor. 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803:499–504.
2. Yu H. K.. 2018;One-dimensional inorgainc semiconductor materials. Ceramist 21(2):141–149.
3. Island J. O., Barawi M., Biele R., Almazán A., Clamagirand J. M., Ares J. R., Sánchez C., van der Zant H. S., Álvarez J. V., D'Agosta R., Ferrer I. J., Castellanos-Gomez A.. 2015;TIS3transistors with tailored morphology and electrical properties. Advanced Materials 27(16):2595–2601.
4. Oh S., Chae S., Kim B. J., Siddiqa A. J., Choi K. H., Jang W. S., Lee K. H., Kim H. Y., Lee D. K., Kim Y. M., Yu H. K., Choi J. Y.. 2018;Inorganic Molecular Chain Nb2Se9: Synthesis of Bulk Crystal and One-Atom-Thick Level Exfoliation. Physica Status Solidi (RRL) – Rapid Research Letters 12(12):1800451.
5. Liu X., Liu J., Antipina L. Y., Hu J., Yue C., Sanchez A. M., Sorokin P. B., Mao Z., Wei J.. 2016;Direct fabrication of functional ultrathin single-crystal nanowires from quasi-one-dimensional van der waals crystals. Nano Letters 16(10):6188–6195.
6. Jeong B. J., Choi K. H., Jeon J., Yoon S. O., Chung Y. K., Sung D., Chae S., Kim B. J., Oh S., Lee S. H., Woo C., Kim T. Y., Ahn J., Lee J. H., Huh J., Yu H. K., Choi J. Y.. 2021;Ternary Transition Metal Chalcogenide Nb2Pd3Se8: 1-Dimensional van der Waals materials for a High-Performance Field-Effect Transistor.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32(4):2108104.
7. Choi K. H., Jeon J., Jeong B. J., Chae S., Oh S., Woo C., Kim T. Y., Ahn J., Lee J. H., Yu H. K., Choi J. Y.. 2022;One-dimensional van der Waals Nb2Pd3Se8 based n-type Field-Effect Transistors Prepared by Liquid Phase Exfoliation. Advanced Materials Interfaces 9(20):2200620.
8. Jeong B. J., Choi K. H., Jeon J., Yoon S. O., Chung Y. K., Sung D., Chae S., Oh S., Kim B. J., Lee S. H., Woo C., Kim T. Y., Ahn J., Huh J., Lee J.-H., Yu H. K., Choi J.-Y.. 2021;One-dimensional van der Waals stacked p-type crystal Ta2Pt3Se8 for nanoscale electronics. Nanoscale 13(42):17945–17952.
9. Choi K. H., Jeong B. J., Jeon J., Chung Y. K., Sung D., Yoon S. O., Chae S., Kim B. J., Oh S., Lee S. H., Woo C., Dong X., Ghulam A., Ali J., Kim T. Y., Seo M., Lee J. H., Huh J., Yu H. K., Choi J. Y.. 2021;Ta2Ni3Se8: One-dimensional van der Waals Material with ambipolar behavior. Small 17(37):2102602.
10. Jeon J., Woo C., Choi K. H., Jeong B. J., Chae S., Oh S., Yoon S. O., Ahn J., Kim T. Y., Lee S. H., Dong X., Ali J., Asghar G., Zhang X., Kang J., Park J.-H., Yu H. K., Choi J.-Y.. 2022;Polymorphism of low dimensional material with ternary composition chalcogenide Ta2Ni3Se8. 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907:164463.
11. Jeon J., Woo C., Choi K. H., Jeong B. J., Kang J., Zhang X., Dong X., Kim T. Y., Ahn J., Oh H.-S., Yu H. K., Choi J.-Y.. 2022;Synthesis and polymorphism of a new phase 1D chalcogenide M2N3X8 structure based on the periodic table: Ta2Ni3S8 with a tetragonal structure. 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926:166752.
12. Oh S., Jeon J., Choi K. H., Chae S., Park J.-H., Lee J.-H., Yu H. K., Choi J.-Y.. 2022;Synthesis of one-dimensional van der Waals material alloys. Applied Physics Letters 120(6):061903.

Biography

◉◉류 학 기

◉ 2003년 포항공과대학교 신소재공학과 학사

◉ 2010년 포항공과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박사

◉ 2011년 - 2014년 Max Planck Institute (MPI) 박사 후 연구원

◉ 2015년 - 2018년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조교수

◉ 2019년–현재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부교수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Nb2 Pd3 Se8 구조와 FET 소자 특성에 기인한 전하 이동도[6]

Fig. 2.

Nb2 Pd3 Se8 화학적 박리를 위한 최적 용매 구성 및 실험 결과[7]

Fig. 3.

Ta2 Pt3 Se8 결정 구조 및 합성 소재의 TEM 결과 및 p형 반도체 특성[8]

Fig. 4.

Ta2 Ni3 Se8 결정 구조 및 합성 소재의 ambipolar형 반도체 특성[9]

Fig. 5.

Ta2 Ni3 Se8 의 동질 이상 합성 및 X-ray 회절 결과[10]

Fig. 6.

Ta2 Ni3 S8 의 동질 이상과 Ta2 Ni3 Se8 비교[11]

Fig. 7.

a-c. Ta2 Ni x Pd3-x Se8, Ta2 Ni x Pt3-x Se8, and Ta2 Pd x Pt3-x Se8의 X회절 페턴, d-f. Ta2 Ni1.5 Pd1.5 Se8, Ta2 Ni1.5 Pt1.5 Se8, and Ta2 Pd1.5 Pt1.5 Se8 의 SEM 및 EDS 원소 분포[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