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Table 1.
시멘트 관련 KS 표준 제 ⋅ 개정 대상 아이템
2.1 포틀랜드시멘트 혼합재 비율 증대
Table 2.
2.2 포틀랜드시멘트 혼합재 종류 다양화
Table 3.
Table 4.
2.3 혼합시멘트 표준
2.3.1 국내⋅외 혼합시멘트 표준 제정 현황
Table 5.
2.3.2 Portland Limestone Cement
2.3.3 LC3
2.3.4 다성분계 혼합시멘트 표준 제정
2.4 기타 포틀랜드시멘트 표준 개정 고려사항
2.4.1 포틀랜드시멘트 염화물 함유량
2.4.2 석고 종류 및 품질 기준 설정
2.4.3 시멘트 강도 등급 설정
Table 6.
2.4.4 저함량 혼합재 관련 용어 개념 추가
시멘트 KS 표준 제⋅개정 로드맵 제안
Table 7.
Table 8.
Types | The present contents | The draft contents |
---|---|---|
Ⅰ | over 5 and 30 or less | over 15 and 40 or less |
Ⅱ | over 30 and 60 or less | over 40 and 60 or less |
Ⅲ | over 60 and 70 or less | over 60 and 95 or less |
결론
1) 시멘트의 혼합재 합량을 10%에서 15∼20%로 증대시키는 것은 시멘트 탄소중립에 매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혼합재 함량 증대에 따른 초기 강도 저하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2) 포틀랜드 시멘트의 혼합재는 수재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시, 포졸란, 석회석 미분말의 4종류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다양한 슬래그, 애시, 폐콘크리트 미분 등의 국내 발생 무기계 순환자원들의 대부분이 시멘트 혼합재로 사용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기술개발이 매우 필요하다.
3) 가용 자원의 활용과 생산에너지 소비량을 고려할 때 포틀랜드 석회석 시멘트(PLC, Portland Limestone Cement), 포틀랜드 소성점토 시멘트(LC3, Limestone Calcined Clay Cement)와 다성분계 혼합시멘트는 탄소중립에 크게 기여할 제품이므로 관련 연구의 추진과 규격 제정을 신속히 추진하여야 한다.
4) 시멘트의 염화물 함유량 기준은 콘크리트의 염화물 함량을 합리적 수준으로 변경하는 것과 연계하여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공정재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소량혼합재 기준도 만들 필요가 있다.
5) 본 연구진이 제안한 시멘트 관련 KS 표준 제⋅개정 로드맵과 기타 다양한 제안은 실험자료에 근거한 합리적 토의를 통해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