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amist Search

CLOSE


Ceramist > Volume 24(1); 2021 > Article
금속-유기 골격 물질 촉매를 활용한 효율적인 이산화탄소 변환

Abstract

The high concentration of CO2 in the atmosphere brings adverse effects on the global climate. Consequently, researchers are relentlessly pursuing the development of scalable and abundant catalysts for CO2 reduction. Among the several strategies available currently, CO2 conversion via photochemical or electrochemical processes is an incredibly exciting pathway because the required power can potentially be sourced from the sun. Due to their tunable bandgap and excellent stability, an enormous number of metal organic frameworks (MOFs) were extensively explored for CO2 reduction. This summary collects recent works in the growth, engineering, and comprehension of CO2 conversion using MOF-based electrocatalysts and photocatalysts. Scrutiny on various catalysts, along with their general design ways for CO2 reduction is presented. This review will afford insight into the up-to-date research progress in MOF-based materials for CO2 conversion.

서론

화석연료의 연소는 논란의 여지없이 온실효과에 상당 부분 기여하며 대기 중으로 막대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방출함으로써 환경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1,2). 이산화탄소 처리 기술인 탄소 포집 및 저장 (Carbon capture and storage) 기술은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여 석유, 석탄 및 천연 가스의 연소로부터 생성된 이산화탄소의 약 90%를 제거하고 인간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한다35). 그러나 상당히 비싼 이산화탄소 저장과 운송 비용으로 전기화학 및 광화학적인 이산화탄소 환원 방법을 대안으로 삼고 있다. 이산화탄소 환원을 위한 전기화학적 또는 광화학적인 접근법은 이산화탄소 분자의 열역학적 안정성에 의해 요구되는 다단계 반응 과정을 포함한다. 이 반응은 느린 운동학 및 에너지의 집약적 감소로 물분해에 비해 복잡한 반응을 가지는데 음이온 라디칼 (CO2)을 유용한 유기 화학 물질로 변환하기 어렵기 때문에 평형 전위를 가하거나 이산화탄소가 선택적인 변환을 할 수 있는 전위를 가해야 한다6). 전기 촉매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으로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 메탄올, 메탄, 에탄올 등 유용한 생성물을 만들어낸다712). 1870년 전기 촉매로 아연 전극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폼산으로 변환시킨 연구가 처음으로 보고되었고, 그 뒤를 따라 주석, 인듐, 팔라듐, 카드뮴 등 여러 가지 금속을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었다13,14). 안타깝게도 이러한 금속들은 매우 귀하고 비싸 이산화탄소 환원에 대한 대량 사용이 제한된다. 따라서 장기적인 생산력을 확보하기 위해 우수한 활성도와 안정성을 가지고 풍부하고 값이 싼 촉매를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하며 그 중 이차원 물질인 그래핀, 전이금속칼코겐화합물 (TMD), 금속-유기 골격(MOFs)은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환원 촉매로 유망한 후보군으로 연구되고 있다2225).
반도체 기반의 광촉매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환원 기술은 전기화학촉매를 이용한 방법과는 완전히 다른 방법으로 에너지와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1978년 Halmann은 태양빛 조명을 조사하여 P형 인화갈륨 (GaP) 전극을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와 메탄올로 변환하는 기술이 처음으로 소개된 뒤, 여러 연구자들은 자외선 조사 시 폼산, 포름알데하이드, 메틸 알코올로 변환하기 위해 이산화 타이타늄 (TiO2), 산화 아연 (ZnO), 황화 카드뮴 (CdS), 인화 갈륨 (GaP) 등 다양한 반도체 관련 광촉매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환원 효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했다. 여러 가지 반도체 중, TiO2는 뛰어난 광 내구성, 낮은 독성, 풍부한 매장량, 그리고 저렴하다는 장점으로 많은 연구가 되고 있지만 전자와 정공의 매우 빠른 재조합으로 열이나 광자의 형태로 에너지가 방출되어 3.2eV의 Valance Band (VB)와 Conduction Band (CB) 간 거리로 자외선 파장으로만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26). 이를 극복하여 고효율의 이산화탄소 환원을 위해선 신소재의 성장이 바탕이 되어 촉매의 형태학적 구조와 화학 성분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의 유망한 후보 중 하나인 MOF는 다양한 금속 이온 (e.g., CO2+, Zn2+, Ni2+, Cu2+, M2+)과 유기 링커 (carboxylate, sulfonate, phosphonate)로 제작하며 적응성과 반응성이 풍부한 MOF를 만들어 낼 수 있다27). 현재까지 넓은 표면적과 구조를 조정할 수 있다는 특성으로 가스 흡수3032), 촉매3335), 센서3638) 및 약물 전달39)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대해 2만개 이상의 MOF가 문헌으로 발표되었다2829). MOF는 모든 다공성 물질에서 가장 높은 비표면적과 이산화탄소 저장을 보여주는데4043), 2010년 Furukawa40)그룹에서 3.6 m3 g−1의 pore volume과 2870 mg g−1이라는 뛰어난 이산화탄소 흡착 능력을 보이는 MOF-210 제작에 성공하여 보고된 모든 연구 중 최고의 성능을 보여주었다. MOF는 활성 자리에 이산화탄소 분자가 결합하여 이산화탄소 환원을 촉진시키는데, 구조적으로 조정이 가능하다는 특성으로 특정 용도에 사용할 수 있는 맞춤형 MOF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4446). MOF는 금속 노드 (metal node)와 유기 링커 둘 다 촉매 작용을 보여주고46), 전이 금속 부위는 수소 발생 반응 (HER)4749), 산소 환원 반응 (ORR)5053),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CO2 RR)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효율 적인 촉매로 활용되고 있다. Fu 그룹은 이산화탄소를 폼산염으로 변환하기 위해 유기 링커에 아미노기를 추가하여 MIL-125(Ti)의 특성을 바꿔 촉매로 사용했고54) 아미노기를 추가한 NH2-MIL-125(Ti)는 기존의 MIL-125(Ti)의 촉매 성능을 대폭 개선시켰다. Guo 그룹55)은 아미노기가 추가된 UiO-68에 금속 나노입자 안정기 (metal nanoparticle stabilizer)를 사용하여 광촉매로서 이산화탄소 환원 성능을 높였고, size engineering56)과 이형접합 구조 형성5760), 새로운 리간드 구조61)와 같은 새로운 방법에 대한 연구를 했다.
본 글은 이산화탄소를 환원시키기 위해 MOF 기반의 전기화학 촉매와 광촉매에 대한 최근 연구를 포괄적으 로 제시하고(그림1), MOF 기반 촉매에 관련된 상세한 논의와 제작 방법,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의 기본 원리를 요약하고자 한다.
그림 1.
Schematic illustration of MOF-based catalysts for elec-trocatalytic and photocatalytic CO2 reduction reaction.
ceramist-24-1-67f1.jpg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의 기본

2.1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환원

기본 메커니즘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전기촉매는 전위에 따라 이산화탄소를 여러 가지 귀한 생성물로 변환시키는 반응으로 표1과 같이 다양한 전위에서의 다중 반응을 보여준다. 그림 2는 반응을 통해 메탄, 메틸알데히드, 폼산, 에틸렌 등 다양한 생성물이 만들어지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중 수소 발생 반응이 불가피하게 발생하여 이산화탄소 환원 촉매 성능을 저하시킨다62). 밀도 범함수 이론 (DFT) 계산은 화학반응 메커니즘을 확인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전기화학적 관점에서 DFT는 중간 에너지와 활성화 에너지의 결합 에너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수소 흡착 자유 에너지는 수소 발생 반응의 촉매 활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다63).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은 다양한 생성물을 만들어 수소 발생 반응에 비해 복잡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열화학 모델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메커니즘을 결정하기 위한 연구 중에 있다64).
그림 2.
Graphical illustration of (a) electrocatalytic CO2 reduction reaction. Reproduced with permission from ref. [141]; Copyright 2020, Elsevier. (b) Photocatalytic CO2 reduction reaction.
ceramist-24-1-67f2.jpg
표 1.
The reduction potential of half reactions in electrocatalytic CO2 reduction reaction (under condition of pH 7 in aqueous solution versus a standard hydrogen electrode (SHE), 25°C, 1 atm gas pressure, and 1 M for other solutes) [141, 148]
No. Half reactions of CO2 reduction Redox potential (V vs. SHE) at pH = 7
(1) CO2 + e → CO2* –1.9
(2) CO2 + 2H+ + 2e → HCOOH –0.61
(3) CO2 + 2H+ + 2e → CO + H2O –0.53
(4) CO2 + 4H+ + 4e → HCHO + H2O –0.51
(5) CO2 + 6H+ + 6e → CH3OH + H2O –0.38
(6) CO2 + 8H+ + 8e → CH4 + 2H2O –0.24
(7) 2CO2 + 12H+ + 12e → C2H4 + 4H2O –0.34
(8) 2H+ + 2e → H2 –0.42
그러나 복잡한 전기화학 공정으로 메커니즘 결정이 쉽지 않아 목표 생성물을 만들어내는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전기 촉매 제작이 중요하다.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전기 촉매 메커니즘은 세 가지 주요한 단계를 가지며 진행된다. 첫 번째 단계에서 이산화탄소가 촉매 표면에 흡착되고, 흡착된 이산화탄소가 전자를 받아 C-O 결합을 끊거나 양성자 이동으로 C-H 결합이 형성되는 것이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전기 촉매에서 가장 중요한 두 번째 단계이다. 마지막 세 번째 단계에서는 전자와 정공의 이동으로 만들어지는 생성물이 촉매 표면에서 탈착 되는 것이다. 앞선 메커니즘을 통해 만들어지는 생성물 형성은 그림 3에 나타냈다. 생성물은 인가 전압65), 전해액66), 압력67)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이 되는데 그 예로 Thorson은 큰 양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질을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만드는 촉매 성능을 향상시켰다68). Ogura 그룹은 Cl, Br, I과 같은 할라이드 음이온이 구리 전극에 대한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전기 촉매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를 했다69). 이 때, 음이온은 구리 전극에 흡수되어 전자 전달에 용이한 촉매층을 형성하여 전류 밀도를 증가시키고 수소 발생 반응으로 이어질 수 있는 양성자 흡수를 막는다. 사용하는 촉매에 따라 이산화탄소가 변환되는 생성물이 달라지는데 Ag, Au, Zn, Pd, Ga 은 일산화탄소 변환에 적합하고 Cd, Hg, In, Pb, Sn, Tl은 폼산 변환에 적합하다. 다양한 MOF 기반 CO2 환원을 위한 전기화학촉매가 표 2에 나와있다.
그림 3.
(a) Possible reaction mechanism for the electrocatalytic reduction of CO2 on transition metal and molecular catalysts. Reproduced with permission from ref. [142]; Copyright 2015 American Chemical Society. (b) Graphical illustration of the generation of MOFs from SBU and rigid linkers. Reproduced with permission from ref. [143]; Copyright 2017 Springer Nature.
ceramist-24-1-67f3.jpg
표 2.
Summary of MOF–based electrocatalysts for CO2 reduction reaction
Materials Electrolyte Product FE [%] Peak potential [V] Current density (mA cm–2) Ref.
Ni(Im) nanosheets 5 nm 0.5 M KHCO3 (pH 7.2) CO 78.8 –0.85 vs. RHE 7.0 [78]
TCPP(Co)/ZrBTB–PSABA 0.5 M KHCO3 (pH 7.3) CO 85.1 –0.769 vs. RHE 5.8 [79]
ZIF–8 0.5 M NaCl CO 65 –1.14 vs. RHE ∼ 5.3 [80]
ZIF–8 0.25 M K2SO4 (pH 4.2) CO 81 –1.1 vs. RHE ∼ 12.0 [81]
ZIF–108 0.25 M K2SO4 (pH 4.2) CO 52 –1.3 vs. RHE 12.8 [81]
PCN–222(Fe) 0.5 M KHCO3 (pH 7.3) CO 91 –0.6 vs. RHE 1.2 [145]
Al2(OH)2TCPP–Co–MOF 0.5 M K2CO3 CO 76 –0.7 vs. RHE ∼ 1.0 [82]
Co–PMOF 0.5 M KHCO3 (pH 7.2) CO 99 –0.8 vs. RHE 18.08 [144]
NNU–15 0.5 M KHCO3 (pH 7.2) CO 99.2 –0.6 vs. RHE 32.2 [83]
Cu–BTC 0.5 M KHCO3 C2H5OH 10.3 –0.28 vs. RHE 10.0 [149]
Cu–BTC 0.01 M TBATFB/DMF Oxalic acid 51 –2.5 vs. Ag/Ag+ 19.22 [86]
Cu2(CuTCPP) nanosheet 1 M H2O/0.5 M EMIMBF4 HCOO 68.4 –1.55 vs. Ag/Ag+ 3.5 [150]
CR–MOF 0.5 M KHCO3 (pH 7.7) HCOOH > 98 –1.2 vs. SHE 21.5 [85]
0D Cu/C–1000 0.1 M KHCO3 (pH 6.8) CH3OH 43.2 –0.3 vs. RHE 1.0 [146]
Cu2O@Cu–MOF 0.1 M KHCO3 (pH 6.8) CH4 63.2 –1.71 vs. RHE 8.4 [151]
ZIF–CNT–FA–p 0.1 M NaHCO3 CO 100 –0.86 vs. RHE 7.7 [152]
Ag2O/layered ZIF 0.25 M K2SO4 CO 80.6 –1.2 vs. RHE 32.5 [153]
Co/Zn ZIF derived Co–N2 0.5 M KHCO3 (pH 7.2) CO 94 –0.68 vs. RHE 18.1 [154]
ZIF–8–derived NC 0.5 M KHCO3 CO 95.4 –0.5 vs. RHE 5.5 [155]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촉매 활성도 평가 매개 변수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촉매 평가를 위해 작동 전압, 타펠 기울기, 전환 빈도, 패러데이 효율, 안정성을 이용한다.
작동 전압: 전기 촉매 성능에 대한 초기 평가 매개변수로 전기화학 측정 장비에 따라 달라진다. 가해주는 전압에 따라 반응이 생기는 지점을 작동 전압이라 한다71).
타펠 기울기: 타펠 방정식을 이용하여 전류 밀도와 과전위 사이의 관계를 기울기로 나타낸다. 반응 메커니즘을 타펠 기울기를 통해 증명할 수 있고 좋은 전기 촉매는 낮은 타펠 기울기를 가지고 있다72).
전환 빈도 (TOF): 전기 촉매의 고유 활성도와 특정 전압에서 전기 촉매의 전기화학 반응 활성도가 얼마나 빠르게 발생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활성부분의 구조적 모호성으로 표면 활성 부분이 정량화 될 수 있는 소수의 귀금속 (Pt, Pd)을 제외하고 전기 촉매의 전환 빈도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패러데이 효율 (FE): 전기화학 반응에서 전자 전달의 효율을 나타낸다. 좋은 성능을 가진 촉매는 일산화탄소, 메탄, 메탄올 등 유용한 생산물을 만들어내는 경우 패러데이 효율이 80% 이상을 보여준다.

2.2 광촉매 활용 이산화탄소 환원

기본 메커니즘과 반응 단계

가시광선이나 자외선을 조사할 때, 적절한 밴드갭 에너지를 가진 광촉매는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이 일어나고 물이 산소로 변환되는 산화작용과 같은 일련의 다중 전자 전기 화학 과정이 일어난다. pH 7일 때, 물과 광촉매의 이산화탄소 환원 시 발생하는 전기화학 반응과 이 때의 산화환원 전위는 표3에 제시되었다. 이산화탄소 환원으로 일산화탄소, 메탄, 폼산, 에틸렌, 폼알데하이드 등의 생성물을 만들어 내는데74), 이러한 재생 가능한 탄화수소 연료의 생성은 수용액에 존재하는 2, 4, 6, 8 전자를 수용한 결과이다.
표 3.
Summary of MOF-based photocatalysts for CO2 reduction reaction
Materials Product Product formation rate [µmol h–1 g–1] Turnover number Quantum efficiency [%] Reaction agent Light source Ref
UiO–66–CrCAT HCOO 1724.3 11.22 1.83 MeCN/TEOA Visible light 420 < λ < 800 (300 W Xe arc lamp) [156]
UiO–66–GaCAT HCOO 959.3 6.14 1.17
NH2–MIL–101(Fe) HCOO 445 1.3×10–2 (450 nm) MeCN/TEOA Visible light 420 < λ < 800 (300 W Xe lamp) [111]
MIL–125–NHCyp HCOO ∼0.725 1.78 TEOA/mesitylene in MeCN–d3 Blue ligh λ=466 nm [115]
MIL–125–NH1Pr     ∼0.71 1.56
MIL–125–NHCy     ∼8.83 1.54
MIL–125–NHhep     1.151 0.69
MIL–125–NHMe     0.284 0.39
MIL–125–NHEt     ∼0.51 0.33
MIL–125–NHBu     ∼0.825 0.30
TiO2–Cu3(BTC)2 CO 256.35 CO2/H2O vapor 450 W Xe lamp with an AM 1.5G filter [135]
Ag  Re3–MOF–16 CO 2.8 MeCN/TEA Visible light 400 < λ < 700 (300 W Xe lamp) [138]
Cu2O@Cu@UiO–66–NH2 CO 20.9     TEOA 300 W xenon arc lamp with a 400 nm cutoff filter [157]
  CH4 8.3          
MIL–101 (Cr)–Ag CO 808.2       300 W xenon lamp with a 400 nm UV cutoff filter [56]
  CH4 427.5      
Au/PPF–3_1A HCOOH ∼42.7     MeCN/C2H5OH 300 W xenon lamp with a 400 nm UV cutoff filter (>400 nm) [60]
[Mn(L)Cl].DMF CO 31.6     TEOA 300 W xenon lamp with a 400–780 nm filter [61]
[Fe(L)Cl].DMF CO 14.3    
NH2–MIL–101(Fe) CO ∼17.5     TEOA 300 W xenon lamp with a 400–780 nm filter [158]
NH2–MIL–101(Fe)/g–C3N4 CO 132.8     TEOA 300 W xenon lamp with a 400–780 nm filter [58]
4NiMOF/CN–AA CO and CH4 ∼13.6     H2O a 300 W xenon lamp with a cut–off filter (λ > 420 nm) [59]
2 wt% Pt@NH2–UiO–68 CO 133.4     TEOA a 300 W xenon lamp with a cut–off filter (λ > 420 nm) [55]
일반적으로 무기 반도체는 전자-전공 쌍을 분리하기에 충분한 에너지를 가진 광자의 흡수에서 시작하여 음의 전하인 전자(e)가 채워져 있는 가장 높은 점유 분자 궤도 (HOMO)에서 비어있는 가장 낮은 점유 분자 궤도 (LUMO)로 이동되는 과정을 거친다. 동시에 양의 전하를 가진 정공(h+)이 HOMO에 위치하여 전하 분리 상태 생성을 나타낸다29). 광유도된 MOF 물질은 무기물 반도체와 동일하지만 분자 궤도 이론에 따라 Conduction Band (CB)와 Valence Band (VB)는 각각 LUMO와 HOMO이다11). 광활성된 MOF의 산화 환원 반응은 낮은 전하 이동으로 exciton이 광유도 된 곳에서 발생한다. 금속-옥소 복합체의 환원 전위는 MOF의 CB로 간주하고 산화 전위는 유기 링커의 HOMO로 간주한다75).
MOF의 효율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개선할 수 있다: (1) HOMO의 에너지 준위가 CO2 환원 전압보다 낮고, LUMO의 에너지 준위가 H2 O 산화 전압보다 높을 때, 태양빛 흡수를 위한 VB-CB 간 적절한 밴드갭 에너지(E H-L)를 가질수 있다; (2) 유기 리간드에서 금속 중심부로 전하를 쉽게 전달하기 위해 광자 흡수 중심 역할을 하는 유기 링커는 금속-옥소 클러스터보다 높은 LUMO 에너지 준위를 가져야한다.
MOF 재료의 광흡수는 E H-L을 통해 예측하고, HOMO 와 LUMO의 에너지 준위 차는 이산화탄소 광촉매 반응을 지배한다.

광촉매 활동 결정요인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효율적인 광촉매 제작을 위해서는 몇 가지 기준을 고려해야 한다. 첫 번째, 태양에서 ∼46% 가시광선과 ∼4% 자외선이 나오기 때문에 광촉매의 전자 여기를 위한 물질 반응도가 높은 자연광-가시광선 영역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광촉매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두 번째, 광촉매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해 MOF 광촉매를 사용 시, 금속 양이온/클러스터는 light-gathering sites로 사용하여 효율적 인 흡수에 도움이 된다. 또한 MOF의 유기 리간드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광학적 흡수 능력을 갖추기 위해 여러 합성법으로 아미노기를 유기 리간드에 부착한다. 두 번째는 광촉매에 의한 이산화탄소 변환 중 전자-정공 쌍의 분리이다. MOF 전이 금속의 양이온과 유기 리간드로 광여기되는 exciton의 분리는 용이하지만 동시에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으로 인해 광촉매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현재 도핑된 TiO2, TiO2/semiconductors 하이브리드 광촉매, p-n 헤테로 접합 광촉매, 염료 감응 광촉매 등과 같은 semiconductors 기반 광촉매의 효율적인 exciton 분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77). 이러한 연구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향상된 전하 분리로 광여기된 exicton의 빠른 재결합을 억제하여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한 전자를 활성화를 통해 MOF 관련 물질에 대한 연구에 도움을 준다.

이산화탄소 환원을 위한 전기화학 촉매용 금속 유기 골격 물질(MOF)

MOF는 조절 가능한 비표면적, 구조 조작에 용이함, 간편한 합성 등 다른 물질로 제작 시 이상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 지난 10년동안 MOF는 수소 발생 반응의 전기화학 촉매, 광촉매로 연구되었다. 또한, 산과 염기 전해질에서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수소 발생과 산소 발생 반응 촉매제로 사용되고 있다.

3.1 2차원 MOF 나노시트

2차원 MOF는 벌크 형태의 MOF와 비교하여 넓은 표면적, 촉매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활성 부분으로의 접근성이 용이한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다. Wu 그룹은 이차원 니켈(Ni)- 이미다졸(Im) 기반의 제올라이트 이미다졸 골격체 (Zeolitic Imidazole Framework: ZIF)를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전기촉매로 사용했다78). 원심분리기 회전수에 따라 이차원 Ni(Im)2 나노시트를 다양한 두께로 합성이 시켜 5nm 두께의 이차원 Ni(Im)2의 경우 높은 일산화탄소 선택도 (FE CO = 78.8% −0.85V vs. RHE)를 보여주고, 벌크 두께의 Ni(Im)2는 낮은 일산화탄소 선택도 (FE CO = 33.7%)를 보여준다. 이는 벌크에서 나노 크기로 되면서 표면-활성 부분의 밀도가 증가되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험에서 5ml 수산화 암모늄(NH4 OH)을 5nm 두께의 이차원 Ni(Im)2 합성에 사용하여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에 최고의 특성을 보여준다.
Zhang79) 그룹은 그림 4a와 같이 ZrBTB 나노시트 기질에 TCPP(Co) ((5, 10, 15, 20)-tetrakis (4-carboxyphenyl) porphyrin))에 접목하여 4768 h−1(0.919 V vs. RHE)의 높은 TOF를 보여주고, 77% (0.769 V vs. RHE)의 높은 FE CO를 보여준다(그림 4b). TCPP(Co)/ZrBTB 나노시트의 촉매 효율을 높이기 위해 p-(aminomethyl)benzoic acid (PABA), psulfobebzoic acid potassium (PSBA), p-sulfamidobenzoic acid (PSABA) 등 다양한 화학 물질을 접목시켰다. TCPP(Co)/ZrBTB-PSABA은 가장 높은 FE CO = 85.1%와 5315 h−1의 TOF를 보여주는데 이는 화학물질 분자들이 Zr 부분을 덮어 수소 생산 반응을 저해하여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을 촉진시켜 나온 결과이다.
그림 4.
(a) Crystal structure of TCPP(Co)/ZrBTB nanosheet. Gray is C, blue is N, red is O, bright green is Co, pale blue is Zr, and cyan is H; (b) and (c) CO Faradaic efficiency for different samples at different operating voltages. Reproduced with permission from ref. [79]; Copyright 2019 WILEY.
ceramist-24-1-67f4.jpg

3.2 삼차원 MOFs

아연 기반 MOFs

MOFs는 금속 양이온과 촉매 부분을 활성화시키는 유기 리간드로 구성되어 있고, 초다공성, 조절 가능한 구조, 촉매 반응 촉진 등과 같은 특성으로 많은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아연 금속은 가격적인 부분과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변환하는 특성으로 MOFs의 금속 노드로 이산화탄소 변환 전기촉매로 적합하다. Wang 그룹은 아연 제올라이트 이미다졸 골격체 (ZIF) 합성에 성공하여 이산화탄소 변환 전기촉매 전구체로 사용하였다80). Wang은 Zn2+가 촉매 반응의 중요한 기능을 하여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변환 시 65%의 높은 FE CO를 보여준다고 설명하였다.
Jiang 그룹은 ZIF 구조에 2-methylimidazole, 2-nitroimidazole, benzimidazole, 4-methyl-5imidazolecarboxaldehyde 와 같은 다양한 유기 링커를 합성시켜 각각 ZIF-8, ZIF-108, ZIF-7, SIM-1를 제작하였다81). 2-methylimidazole을 이용한 ZIF-8은 81% (−1.1 V vs. RHE)의 높은 FE CO를 보여주고, ZIF-108은 큰 전류밀도 12.8 mA cm−2(−1.3 V vs. RHE)를 보여준다(그림 5a). 밀도 범함수 이론 (DFT)으로 화학 계산을 진행하여 이산화탄소 분자가 이미다졸 링커의 C(sp2) 원자를 흡수한다는 것을 확인했다(그림 5a 및 b). ZIFs 아연 금속 노드의 * COOH의 자유 에너지는 ZIFs 유기 링커 보다 높고, * COOH와 * H의 자유에너지를 통 해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의 4가지 촉매 중 ZIF-8이 가장 높은 효율을 보여준다는 것을 보여준다(그림 5c 및 d). 결과적으로 ZIF-8은 가장 낮은 * H 흡수 자유에너지로 인해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촉매로 가장 높은 선택성을 보여준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림 5.
The Faradaic efficiency (a) and current density (b) for CO product on ZIF-7, SIM-1, ZIF-108, and ZIF-8 at various potentials; (c) Most durable absorption centers of *COOH on various imidazole linkers of ZIFs, which are marked by orange arrows; (d) Reaction mechanism on 2-methylimidazole linker; (e) Calculated free energy with solvent effect corrections for CO2 RR (e) and HER (f) by DFT method. Reproduced with permission from ref. [81]; Copyright 2018, Elsevier.
ceramist-24-1-67f5.jpg

코발트(Co) 기반 MOFs

코발트 기반 물질은 코발트(Co)가 Co(Ⅰ), Co(Ⅱ), Co(Ⅲ), Co(Ⅳ)를 포함한 다양한 환원-산화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heterogeneous한 특성으로 유망한 촉매로 여겨진다. 코발트 기반 MOFs는 수소 생산 및 이산화탄소 환원 전기 촉매로 사용시, 본질적으로 낮은 전도성을 가지고 있어 화학 반응에 전도성을 가진 Fluorine doped Tin Oxide(FTO), 그래핀, 탄소섬유 등 에 도핑하여 사용한다. Kornienko 그룹은 FTO에 얇은 Al2(OH)2 TCPP-Co 층을 도핑하여 이산화탄소 양극재로 이용했다82). 전자 하나의 환원으로 생성된 Co(Ⅰ)는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전기 촉매 활성 역할을 하여 일산화탄소에 대해 높은 선택성인 76%(−0.7 V vs. RHE)의 FE CO를 보여준다.
Huang 그룹은 그림 6a에 보이듯 NNU-15 단일 결정을 제작하여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촉매로 사용했다83). NNU-15는 99%(−0.6 V vs. RHE)의 FE CO로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변환 시 탁월한 효율을 보여주고 110시간이 지난 뒤에도 촉매 성능이 유지되는 높은 내구성을 가지고 있다(그림 6b). 코발트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HCO3로 변환시키고, Co(Ⅰ)는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전기촉매 역할로 사용된다(그림 5c 및 d). 그림 6e 는 자유에너지 전이상태에 대한 설명이다.
그림 6.
(a) Crystal structure of NNU-15; (b) Stability test of NNU-15 at a fixed potential of −0.6 V (vs. RHE); (c) Structural illustration for the absorption of CO2 on Co(II) site; (d) Reaction mechanism of CO2 conversion into CO; (e) The corresponding free energies for each step in CO2 RR. Reproduced with permission from ref. [83]; Copyright 2019, Elsevier.
ceramist-24-1-67f6.jpg
Wang 그룹은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metal-polyoxometalate MOF (M-PMOF) 구조 (M = Co, Ni, Fe, Zn)를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촉매로 이용했다(그림 7a). 위의 4가지 금속을 사용한 촉매 중 Co-PMOF는 가장 높은 특성 (FE>94%)을 나타내고(그림 7b), 그림 7c에선 촉매의 안전성이 35시간 이상 유지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Wang은 그림 8a 및 b에서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단계의 자유 에너지를 계산하여 Co-PMOF이 가장 낮은 자유에너지로 인해 이산화탄소 환원에 최고의 재료란 것을 보여준다. 그림 8c 및 d는 Co(Ⅱ)가 Co(Ⅰ)로 환원되어 이산화탄소에서 일산화탄소로 변환되는 반응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이다.
그림 7.
(a) A graphical illustration for construction of a series of structures of M-PMOFs (M = Co, Fe, Ni, Zn); (b) The Faradaic efficiency for CO product on various structures of M-PMOFs; (c) Stability test of Co-PMOF at a fixed potential of −0.8 V (vs. RHE). Reproduced with permission from ref. [144]; Copyright 2018, Springer Nature.
ceramist-24-1-67f7.jpg
그림 8.
(a) The corresponding free energies for each step in CO2 RR; (b) Comparison of the free energy of reaction steps (ΔG1, ΔG2, and ΔG3 indicate the free energy of *COOH formation, *CO formation, and CO desorption, respectively) in CO2 RR on M-PMOFs; (c), (d) Reaction mechanism of CO2 conversion into CO on Co-PMOF catalyst. Reproduced with permission from ref. [144]; Copyright 2018, Springer Nature.
ceramist-24-1-67f8.jpg

철(Fe) 기반 MOFs

철 기반 MOFs는 코발트 기반 MOF와 마찬가지로 효율적인 이산화탄소 환원 전기 촉매로 사용된다. Dong 그룹은 PCN-222(Fe)/C라는 복합체를 만들어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촉매로 사용했다. PCN-222(Fe)의 결정 구조와 형태학 구조는 그림 9a 및 b에 나타냈다. 그림 9c는 처음 2시간 동안 촉매의 가장 높은 91%의 FE CO 와 높은 FECO를 10시간동안 유지하는 것을 보여준다. 전극의 경우도 10시간동안 안정하다는 것을 그림 9d에서 나타냈다. Hod 그룹은 Fe-MOF-525를 FTO기판 위에 성장시켜 이산화탄소 변환 양극으로 사용했다84). 촉매에 2,2,2-trifluoroethanol(TFE)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 54%의 FE CO를 보여주지만 전해질에 TFE를 첨가했을 경우 60%의 FE CO를 보인다.
그림 9.
(a) A crystal structure of PCN-222(Fe); (b) SEM image of PCN-222(Fe); (c) The Faradaic efficiency for CO product of PCN-222(Fe)/C; (d) Stability test of Co-PMOF at a fixed potential of −0.6 V (vs. RHE). Reproduced with permission from ref. [145]; Copyright 2018, American Chemical Society.
ceramist-24-1-67f9.jpg

구리(Cu) 기반 MOFs

아연, 코발트, 철 기반 MOFs는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변환시키는 재료로 사용되지만 이와 다르게 구리 기반 MOFs의 경우 이산화탄소를 폼산, 알코올, 탄화수소로 변환시키는 재료로 사용된다. Hinogami 그룹은 copper rubeanate MOF(CR-MOF)를 합성하여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촉매 특성을 측정했다85). CR-MOF는 HCOOH 형성에 높은 선택성을 보이며 일반 구리전극보다 13배 빠른 13.4 µmol/cm 속도를 가진다. 그 이유로 CR-MOF의 전자 밀도가 구리 금속에 비해 낮아 이산화탄소와의 약한 결합을 이끌어 HCOOH 형성을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Kumar 그룹은 용매가 Cu3(BTC)2의 이산화탄소 환원 특성에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촉매를 N, N-dimethylformamide (DMF)와 tetrabutylammonium tetrafluoroborate (TBATFB) 혼합 용매 넣었을 때, HCOOH는 90%의 순도와 51%의 FE를 보여준다(그림 10)86). HCOOH가 생성되는 메커니즘은 HCOO가 DMF에서 양성자를 얻어 CO2-의 이합체화 과정으로부터 만들어진다.
그림 10.
(a) Graphical diagram of the preparation of Cu-BTC and 0D Cu/C-1000; (b) SEM image of Cu-BTC; (c) SEM image of 0D Cu/C-1000; (d) Proposed mechanism for electrocatalytic CO2 RR on 0D Cu/C-1000. Reproduced with permission from ref.[146]; Copyright 2017, American Chemical Society.
ceramist-24-1-67f10.jpg

3.3 전기화학 촉매용 MOF 복합체

앞서 언급했듯이 MOFs는 이산화탄소를 다양한 화합물로 변환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낮은 전하 전도도 때문에 전기 촉매 응용에 제한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MOF의 특성을 바꿔 촉매 활동을 증가시키는 연구가 시작되었고, 특히 MOF 구조에 조절 가능한 기공을 결합시키거나 core-shell 구조로 MOF 복합체를 제작하여 활성 부분의 손실을 막음으로써 성능을 높였다87).
구리는 유용성, 싼 가격, 여러 가지 화합물을 생산할 수 있는 특성과 나노 크기의 구리 나노입자가 전기화학적인 집적을 막는 저항을 가지고 있어 전기화학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변환에 대한 높은 선택성을 가지고 있다. Hupp 그릅은 MOF(SIM)에 용액상 원자층 증착을 통해 Cu2+를 균일하게 증착시켜 NU-1000의 얇을 층을 생성했다. 전기화학 환원으로 형성되는 금속 구리 나노입자 는 Cu-SIM NU1000의 얇은 층의 전기활성으로 이산화탄소 변환을 유발한다87).
Luna 그룹은 이산화탄소 변환을 위해 두 단계의 layer-layer 방법과 용매열 합성법으로 MOF 재료를 Au nanoarchitecture microelectrodes (AuNMEs) 템플릿에 증착했다. MOF의 사용으로 일산화탄소 형성이 억제되고 AuNMEs에 소량의 메탄과 에탄이 발생했다. 게다가 MOF의 분해로 일산화탄소는 전기화학 시스템에서 −1.0 V(vs. RHE)의 전압을 인가할 때 생성되었다88).
Buonsanti 그룹은 Ag@Al-PMOF 하이브리드 구조를 제작하여 전기촉매 방법을 통해 이산화탄소 변환에 사용했다89). 합성한 Ag@Al-PMOF는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변환 시 Ag만을 사용했을 때 보다 수소 발생 반응을 급격하게 감소시켜 2배 높은 효율을 보여준다. 이러한 합성은 MOF 구조에서 나노 결정으로의 전하 이동을 증진시키고, 다공성의 MOF 구조는 물질 전달을 개선시킨다.
Lan 그룹은 MOF의 낮은 electron-donating과 전자 전도도를 개선하기 위해 MOF 구조의 전하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metallocene (MCp2)를 이용했다. 특히 CoCp2@MOF545-Co는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변환 시 높은 선택성인 97% (−0.7 V vs. RHE.)의 FE CO 를 보여준다.

이산화탄소 환원을 위한 광촉매용 MOF

Fujishima 그룹이 TiO2를 발견한 이후로 수많은 반도체 광촉매에 대한 연구가 발전되고 진행 중에 있다9). 반도체 광촉매는 VB와 CB 가장자리의 절대 위치에 따라 달라 적절한 밴드갭 위치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MOF는 이산화탄소 환원, 물분해90), 염료 분해91) 등 광촉매 활동을 하는 유망한 물질로 MOF의 광촉매 반응은 ligand-to-metal charge transfer (LMCT), localized metal-to-ligand charge transfer (MLCT), the π–π* transition of the aromatic ligand와 같은 반복적인 세 가지 다른 반응이 일어나며 발생한다92). 또한 금속 클러스터와 유기 링커의 존재로 MOF는 광수집 부분을 제공하여 넓은 광흡수 범위와 적절한 밴드갭 에너지, 향상된 이산화탄소 흡착 용량 및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93).
반도체와 귀금속을 포함한 MOF 기반 하이브리드 복합체 광촉매는 태양빛 스펙트럼을 흡수하는데 효율적이다. MOF 기반 이산화탄소 환원 광촉매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i) MOF는 높은 결정성과 다공성으로 금속 클러스터와 유기 링커 간 광발생된 전자의 쉬운 전하 이동이 가능하고 인접한 기공에서는 반응의 물질전달이 촉진된다94). (ii) 우수한 흡착 특성을 통해 기공 채널 주변에 높은 농도의 이산화탄소를 가질 수 있어 환원의 효율성을 높인다95). (iii)넓은 비표면적을 가진 MOF 의 구조는 금속 나노 입자를 수용하는 전자 수용체의 역 할을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전하를 분리한다96). 따라서 MOF의 흡착능력은 표면적을 늘려 개선하고, 금속 부위와 흡착 엔탈피의 총량을 늘려 촉매 활성을 높인다97). 앞서 언급한 여러 가지 장점으로 MOF는 유망한 이산화탄소 광촉매로 연구된다.
다음으로 나오는 내용은 태양광선 조사 시 반도체, 광증감제, 금속 나노입자 복합체 제작과 같이 다른 재료와의 최적화를 통해 성능과 전하 전달 능력을 향상시켜 이산화탄소 흡수 용량, 활성 촉매 선택에 대한 MOF의 이산화탄소 광환원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한 몇 가지 예를 보여줄 것이다.

4.1 MOF 광촉매

뛰어난 이산화탄소 화학흡착과 활성화 특성으로 MOF 는 이산화탄소 광환원에 높은 효율과 안정성을 가지고 있고, MOF의 반도체 성질은 광유도된 전자의 쉬운 수집과 광촉매 특성에 영향을 끼치는 본질적인 특성을 결정한다98). MOF의 다공성 구조는 높은 이산화탄소 결합 에너지를 가지고 환원 반응을 촉진할 수 있어 외부 금속 양이온은 MOF의 유기 링커나 금속 노드에 주입되어 MOF의 광촉매 특성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킨다는 것을 증명했다99).

금속 클러스터

MOF는 다공성의 유기 링커와 금속 클러스터로 형성되며 1차원, 2차원, 3차원 구조를 가지고 있다100101). MOF의 금속 클러스터는 이산화탄소 라디칼 흡수를 위한 환원 역할을 하고 이산화탄소 환원 광촉매 활동을 개시한다. 타이타늄, 지르코늄, 철 기반 MOF는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광촉매로 가장 활발한 연구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이 광활성 금속 클러스터는 광여기된 전자를 붙잡아두어 광촉매 반응을 가속화하는 반도체 역할을 하며 이는 전자-정공 쌍의 재조합 속도를 더욱 감소시킨다102). MOF는 금속 이온과 유기 링커는 특성을 쉽게 조절하고 수정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향상된 성능을 가질 수 있고, 금속 이온의 다른 원자가 상태(Ti4+/Ti3+, Zr4+/ Zr3+, Fe3+/Fe2+)를 가지게 때문에 효율적인 광촉매 환원이 가능하다.
다양한 원자가 상태(Ti4+/Ti3+, Zr4+/Zr3+)를 가진 지르코늄과 타이타늄은 고다공성과 화학 반응에서의 높은 안정성으로 인해 MOF의 금속 노드로 적합하다103104).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된 지르코늄 기반 MOF (UiO-66(Zr))는 Zr6 O4(OH)4와 benzene-1,4-dicarboxylic acid (BDC) 리간드로 형성된다105). 연구에 따르면 UiO-66(Zr)는 수소 생산 반응에 대한 광촉매로 좋은 결과를 보여줬지만, 태양빛 조사할 시 유기 링커 (BDC)와 Zr-O 간 비효율적인 전자 전이로 인해 이산화탄소 환원 광촉매로 좋지 않은 결과를 보여준다106). 이와 달리 일부 보고에서는 태양빛 조사 시 금속-금속 전하 전달을 통한 MOF 양이온의 부분 치환으로 광촉매 성능을 개선했다107). 2017년 Tu 그룹은 microwave-assisted 방법을 이용하여 UiO-66(Zr)의 지르코늄-옥소 클러 스터에 있는 Zr(IV) 금속을 Ti(IV) 금속으로 부분 치환하여 (UiO-66(Zr/Ti)-M 제작했다108). 지르코늄 금속을 일부 타이타늄 금속으로 치환을 하면 band-edge alignment를 통해 MOF의 전지 특성과 전하 이동 속도가 개선이 되어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107). 또한 UiO-66(Zr/Ti)-M 구조는 유기 링커 (BDC)에서 Zr-O 클러스터로 엑시톤의 전하 이동에 도움을 주어 훌륭한 광촉매 활동을 보여준다. 다른 금속 이온도 다양한 전략을 통해 MOF의 지르코늄 이온을 대체하여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 광촉매로 높은 특성을 보여주는데, 예를 들어 BDC 링커 대신에 NH2-BDC를 사용하여 NH2-UiO-66(Zr)109)을 합성하거나 Post-Synthetic Exchange (PSE)를 이용하여 Ti4+ 이온을 Zr4+로 치환하여 합성한 NH2-UiO66(Zr/Ti)을 그림 11a에서 보여준다. 그림 11b은 Post-Synthetic Incorporation (PSI)으로 Cr3+와 Ga3+ 금속 이온을 지르코늄 이온으로 대체하여 UiO-66-CrCAT와 UIO-66-GaCAT 합성에 성공하는 것을 보여준다110).
그림 11.
(a) Proposed enhanced mechanism for the photocatalytic reactions over NH2-UiO-66(Zr/Ti). Reproduced with permission from ref[107]; Copyright 2015, Royal Society of Chemistry. (b) Preparation of UiO-66-CrCAT and UiO-66-Ga-CAT through post-synthetic exchange (PSE) and metalation. Reprinted with permission from ref[110]; Copyright 2011, American Chemical Society. (c) Dual excitation pathways over amino-functionalized Fe-based MOFs. Reprinted with permission from ref[147]; Copyright 2017, Royal Society of Chemistry.
ceramist-24-1-67f11.jpg
BDC 리간드와 Ti8 O8(OH)4 secondary building units (SBUs)로 구성된 초다공성 타이타늄 MOF인 MIL-125(Ti)는 이산화탄소 환원 광촉매로 널리 연구 중에 있다. 한 연구는 이산화탄소 환원 촉매로 MIL-125(Ti)을 사용하여 태양빛을 조사하거나 아세토니트릴 용매에 넣을 경우 2.41 × 10−6 mol의 폼산염을 생산하는 것을 보고했다. 또한 BDC 유기링커를 2-aminoterephthalic acid (H2 ATA)로 치환하여 합성한 MIL-125(Ti)는 광촉매로 활동에서 눈에 띄게 향상된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54).
철 기반 MOFs는 Fe-O 클러스터의 존재로 이산화탄소 환원 광촉매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데, 특히 가시광선을 조사 시 광여기된 전자가 O2-에서 Fe3+로 직접 유도되어 Fe2+를 형성할 수 있다111). 다른 보고에선 가시광선 조사 시 철 기반 MOF로 MIL-101(Fe), MIL-53(Fe), MIL-88B(Fe)를 이산화탄소 환원 광촉매로 사용했다112). 세 가지 촉매 중 트리에탄올아민이 포함된 아세토니트릴 용매에서 생성되는 MIL-101(Fe)는 59.9 µmol의 높은 molar rate를 보였다. MIL-101(Fe)은 불 포화된 철의 존재로 이산화탄소 환원 광촉매 특성을 향상시키고 amine 그룹을 이용한다면 더 향상된 특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그림 11c에서 보여준다. NH2-MIL-101(Fe)는 MIL-101(Fe)에 비해 세 배 높은 178 µmol의 폼산염 생산을 보여준다.

유기 링커

앞선 언급한 금속 클러스터와 마찬가지로 유기 링커와 커넥터(amino-modification, photosensitizer-functionalization, electro-rich conjugated linking)를 이용하여 MOF 재료의 광촉매 성능을 올리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는데 광범위한 광흡수, 높은 전자 밀도, 광발생된 전하 운반체의 낮은 재결합 속도, 이산화탄소와의 강한 결합 등이 MOF의 광촉매 활동을 결정한다93).
이론 및 실험을 통해 aromatic polycarboxylates를 MOF 유기링커로 사용하면 높은 전하 밀도로 광발생 전자를 쉽게 제공한다. 또한 NH2 그룹을 유기링커로 사용 하면 이산화탄소 환원 광촉매 특성 향상에 실직적인 도움이 된다54). 벤젠 고리의 π*-오비탈과 amine의 비결합 전자의 상호작용이 anti-bonding에 대한 광촉매 반응을 촉진한다113). 또한, 금속 나노입자가 구체화되는 것은 광분해 활성에 확연한 개선을 가지고 온다114).
Fu 그룹은 태양빛 조사 시 amine 그룹을 이용하여 MIL-125(Ti)의 흡수와 광환원 특성을 바꾸었다54). 이러한 방법으로 MOF에서 파생되어 만들어진 NH2-MIL-125(Ti)는 기존 MIL-125(Ti)에 비해 2배 높은 우수한 활성을 보여주는데, 이는 이산화탄소 분자와 변형된 amine 유기 링커 간 접촉 때문이다. 또한 NH2-MIL-125(Ti)는 350의 넓은 흡수 범위를 가지며 트리에탄올아민이 포함된 아세토니트릴 용매에서 8.14 µmol 의 높은 폼산염 생산을 보여준다. Logan 그룹은 NH2-BDC의 리간드를 nitrogen-alkyl 그룹이 포함된 리간드로 대체하여 체인 길이(methyl부터 n-heptyl)에 따른 영향을 연구했다(그림 12a)115). N-alkyl 치환의 체 인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양자 수율과 반응속도가 향상되었다(그림 12c-f). 다른 연구에서는 UiO-66(Zr)의 BDC를 NH2-BDC로 치환하여 초다공성 NH2-UiO-66(Zr)을 성공적으로 제작하였다109). 제작된 NH2-UiO-66(Zr)는 광흡수 전하 이동을 확대하고 이산화탄소 흡착 능력을 증가시켜 확연한 광촉매 활성을 향상시켰다.
그림 12.
a) Crystal structure of MIL-125(Ti) and b) molecular structures of a series of NH2-BDC linkers with N-alkyl groups. c) CO2 adsorption– desorption isotherms and d) optical band gap width of a series of isostructural Ti-based MOF photocatalysts with different linkers. e) Kinetic plot for photocatalytic CO2 reduction over MIL-125-NHMe and MIL-125-Nhhep. f) Quan-tum yields of a series of isostructural Ti-based MOF photocatalysts with different linkers for photocatalytic CO2 reduction. Reproduced with permission from ref[115] Copyright 2017, Royal Society of Chemistry.
ceramist-24-1-67f12.jpg

4.2 MOF 복합체 활용 광촉매

연구를 통해 발생된 전하의 분리와 이동에 개선을 주거나 전하의 재결합을 줄이는 것이 이산화탄소 광환원 효율을 증가시키는데 중요한 것을 확인했다. MOF는 높은 이산화탄소 흡착, 넓은 표면적, 조절 가능한 구조, 광학적 특성과 같은 뛰어난 특성으로 인해 이산화탄소 환원 광촉매로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MOF의 광환원 활성을 개선하기 위해 금속, 탄소, 반도체, 광증감 제 등을 MOF 구조에 합쳐 한 물질에서 다른 물질로의 광발생 전자 이동을 증가시키고, 흡착과 활성 부분을 증가시켜 효율적인 전하 분리 과정을 이끌어낸다116119).

MOF-광증감제 복합체

루테늄(Ru), 레늄(Re), Ir(이리튬) 기반 polypyridine 구성은 MOF의 전하 이동 능력 개선을 위해 광범위하게 이용하고 있다110,120126). 이러한 광증감제는 활성 부분과 감광성 종을 도입하여 전자-정공 쌍을 형성할 수 있는 빛을 만들어 낸다127,128). BPDC 링커와 비슷한 구조와 전이금속-카르보닐 복합체와의 조정으로 2,2-Bipyridine-5,5-dicarboxylic acid (5,5-dcbpy), 2,2-bipyridine-4,4-dicarboxylic acid (4,4-dcbpy)를 종종 광증감제 형태로 사용한다. Li 그룹의 연구에 따르면 Ru(CO)2 Cl2와 MOF-253 (Al(OH)(5,5-dcbpy))를 결합하여 MOF-253-Ru(CO)2 Cl2를 제작하였다. 태 양빛 조사 시 촉매는 트리에탄올아민이 포함된 아세토니트릴 용매에서 0.09 µmol의 수소와 0.67 µmol의 폼산염, 1.86 µmol의 일산화탄소를 만들어낸다. 반면, MOF-253는 같은 조건에서 생산물을 만들어 내지 못했다124). Cohen 그룹은 Mn I(CO)5Br의 Mn I 부분과 MOF 의 N,N-chelating 부분 간의 조합으로 수정된 bpy를 포함한 UiO-67-dcbpy를 제작하였다129). 20시간의 광선 조사 후, 만들어진 UiO-67-Mn(bpy)(CO)3BR 광촉매는 BNAH와 Ru II(4,4-dcbpy)3에서 118−1의 turnover frequency (TOF)와 110 ± 13의 폼산염 형성에 도달하였다. 이 과정은 몇 가지 단계가 필요한데, 가시광선 조사 시 Ru II(4,4´- dcbpy)3 광증감제는 BNAH로부터 여기된 전자를 수용하며 광촉매 환원을 시작한다. 수정된 MOF 구조의 Mn+ 이온은 Ru II(4,4´- dcbpy)3에서 전자를 수용해여 이산화탄소가 쉽게 Mn 부분에 부착되며, TEOA의 도움을 받아 전자를 수용하고 폼산염으로 환원되기 때문이다.

MOF-반도체 복합체

이산화탄소 환원 광촉매 반응에 뛰어난 반도체 광촉매는 MOF 재료와 결합을 통해 이산화탄소 포획에 있어 높은 성능을 가지고 있어 광촉매로 최적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Zhang 그룹은 태양빛 조사 시 CO2 광환원을 위한 전자 도너로 ZIF-8을 TiO2 광촉매를 결합시켰다130). ZIF-8/TiO2 하이브리드 구조는 ZIF-8 양에 따라 1–3단계로 성장시켜 각각 Ti-MOF-1, Ti-MOF-2, Ti-MOF-3를 제작했다. 그 중, Ti-MOF-2는 일반적인 TiO2 필름에 비해 높은 일산화탄소(0.53 µmolg−1 h−1), 메탄(0.18 µmolg−1 h−1) 생성을 보여준다.
Wang 그룹은 CdS 나노입자를 Co-ZIF-8과 결합시켜 Co-ZIF-9/CdS를 제작했다. 태양빛을 조사 시, 제작된 촉매는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변환시키는 광환원 촉매 특성을 보인다131). Co-ZIF-9/CdS 촉매는 50.4 µmol의 일산화탄소와 11.1 µmol의 수소 분자를 생산시키는데, 같은 조건에서 CdS 나노입자 (0.5×10−6 mol의 일산화탄소, 1.6×10−6 mol의 수소)에 비해 높은 효율을 보여준다. 반도체 CdS는 태양빛 조사 시 전하 운 반체를 발생시키고 광발생된 전자는 MOF 물질에서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환원시키고, 반응 동안 여기된 전자에 의해 수소 분자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반도체와 MOF 이형접합 촉매 제작은 광발생된 전하의 분리에 효율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119,132).
Shi 그룹은 양전하와 음전하를 가진 정전기학 합성을 통해 UiO-66와 반도체 carbon nitride nanosheets (CNNS)를 결합시켜 UiO-66/CNNS 복합체를 제작했다133). UiO-66/CNNS 복합체 구조의 CNNS와 UiO-66 표면의 상세한 접합은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을 이용하여 분석했다. 복합체 구조는 일반적인 CNNS에 비해 높은 이산화탄소 흡착 능력으로 일산화탄소를 형성한다. UiO-66/CNNS의 이산화탄소 광환원 장기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decay curves를 이용했다. 복합체의 반응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CNNS에 비해 낮은 LUMO 에너지 준위를 가진 UiO-66은 광발생된 전자의 쉬운 이동으로 복합체에 풍부한 전자를 제공하여 이산화탄소 변환 효율을 높인다.
반도체 graphitic carbon nitride (g-C3 N4)는 MOF 와 합성 시, 형태학, 구조학적으로 이산화탄소 변환 광촉매 특성을 바꾼다. Wang 그룹은 메조포러스 g-C3 N4를 광수집체, Co-ZIF-9를 촉매로 사용하여 Co-ZIF-9/g-C3 N4 복합체를 제작했다134).
앞서 언급한 (TiO2, CdS, g-C3 N4) 반도체 물질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반도체 물질을 MOF와의 결합을 통해 복합체를 제작한다. Li 그룹은 TiO2 나노입자를 Cu3(BTC)2 (BTC = 1,3,5-benzenetricarboxylate(oc tahedral microcrystals) 표면에 성장시켜 core-shell 구조를 가진 반도체 복합체를 메탄가스 생성을 위해 합성했다(그림 13a-c)135). 제작된 TiO2-Cu3(BTC)2는 일반 Cu3(BTC)2와 비교했을 때 보다 뛰어난 이산화탄소 흡착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림 13e를 통해 태양빛 조사 시 TiO2-Cu3(BTC)2의 우수한 광환원 특성과 선택성을 보여준다. 그림 13f는 TiO2와 TiO2-Cu3(BTC)2 간 계면상태 형성을 통해 흡착과 광발생 움직임을 확인하여 전하 분리의 효율 개선을 보여준다. 종합적으로 광환원 특 성 개선을 위해 복합체 물질의 쉬운 전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이산화탄소 분자에 대한 흡착 능력을 극대화해야 한다.
그림 13.
Cu3(BTC)2@TiO2 composite: a) schematic illustration, b) TEM image, and c)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images. d) The comparison of Cu3(BTC)2 and Cu3(BTC)2@TiO2 for the adsorption–desorption isotherm. e) The comparison of TiO2, Cu3(BTC)2, and Cu3(BTC)2@TiO2 for the performance of photocatalytic CO2 conversion, f) ultrafast transient absorption, and g) photoexcited dynamics. h) The optimized structure of a CO2 molecule adsorbed on Cu3(BTC)2. i) Change of E B for CO2 reduction after the addition of a one or two-electron charge. Reproduced with permission from ref[135]. Copyright 2014, Wiley online library.
ceramist-24-1-67f13.jpg

MOF-금속 복합체

귀금속 나노입자는 높은 에너지 준위로 인해 광발생 전하 운반체의 분리가 가능하다. 나노 크기의 귀금속을 MOF 구조와 결합시키 광발생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 속도가 감소되어 이산화탄소 환원 촉매로 각광받고 있다136137).
Choi와 그의 동료는 Ag 나노큐브와 Re-complex 광증감제 결합시켜 광촉매로 이용했다138). 복합체 촉매는 core-shell 구조로 Ag⊂Re n-MOF라는 이름을 붙여지는데 그림 14a-h에서와 같이 n은 단위 셀의 Re I (5,5-dcbpy)(CO)3 Cl 수를 나타낸다. 광촉매 활동은 복합체 구조의 shell의 두께와 Re complex의 농도에 따라 다르며 Re3-MOF가 16nm의 두께를 가질 때 일반 Re3-MOF에 비해 태양 광선 스펙트럼에서 매우 강한 산란 피크를 가지고 있어 최대 광환원 성능을 보여준다.
그림 14.
(a) Synthetic scheme of Re n-MOF. b) The structure of A⊂Re n-MOF. c) Photocatalytic conversion activities of Ren-MOF under visible-light irradiation. d, e) TEM images of Ag⊂Ren-MOF. f) The comparison of Ag nanocubes, Re3-MOF, and Ag⊂Re3-MOF 16 nm for the UV–visible spectrum. g) The comparison of Ag⊂Re3-MOF-33 nm, Cu⊂Re2-MOF-33 nm, Ag⊂Re3-MOF-16 nm, and Ag⊂Re0-MOF-32 nm for photocatalytic conversion activity. h) The comparison of Ag⊂Re3-MOF-16 nm and Re complex for photocatalytic stability. Reproduced with permission from ref[138] Copyright 2017, American Chemical Society.
ceramist-24-1-67f14.jpg
Li 그룹은 Pt, Au와 같은 귀금속을 NH2-MIL-125(Ti)에 도핑하여 광촉매로 사용했다139). NH2를 MIL-125(Ti)에 도핑한 촉매의 경우 폼산염을 생산한 반면 금속을 도핑한 NH2-MIL-125(Ti)촉매는 수소 분자와 폼산염을 생산한다. 이는 귀금속의 전자를 가두는 독특한 성질로 인해 수소 발생 반응을 이끌어낸다. 8시간의 태양빛 조사 시 NH2를 MIL-125(Ti)에 도핑한 촉매는 10.75 µmol의 폼산염을 생산하고 Pt를 NH2-MIL-125(Ti)에 도핑한 촉매는 12.96 µmol의 폼산염을 생산 했다. 반면에 Au를 NH2-MIL-125(Ti)에 도핑한 촉매의 경우 9.06 µmol의 낮은 폼산염 생산 효율을 보였다.
그래핀과 같은 탄소 물질은 MOF와 결합 시 광증감제 역할을 하여 효율적인 이산화탄소 광환원 촉매 제작이 가능하며 이는 MOF의 광환원 성능을 증가시키는 전략이다140).

결론

연구에 따르면 이산화탄소 전기환원 촉매, 광환원 촉매는 많은 연구를 통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지만 촉매의 효율성과 선택성이 낮기에 추가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다. 촉매의 독특한 구조, 특성 및 구성은 우수한 이산화 탄소 환원 촉매 연구에 우선순위가 되어야 하며 연구자들은 이론 계산을 통해 새로 발견된 촉매의 반응 중간체와 에너지 방벽과 연관 있는 과전압을 확인하여 촉매를 생산하고 연구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
이산화탄소 환원 광촉매는 물분해에 이용되는 광촉매 공식과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새로운 구조와 특성을 가진 촉매를 제작하여 진보와 발전을 이루어낼 수 있으며 현재 MOF는 이산화탄소 분자 흡착을 증가시킬 수 있는 높은 다공성과 전자 이동이 쉽다는 특성으로 이산화탄소 환원 촉매제로 발전 중에 있지만 부족한 가시광선 흡수 능력, 촉매의 불안전성, 낮은 선택성은 효율적인 이산화탄소 환원 촉매 제작을 위해 해결해나가야 할 문제이다.

사사

본 연구는 한국 연구재단의 미래소재디스커버리 사업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grant number 2017M3D1A1039379]

REFERENCES

1. J.-R. Li, Y. Ma, M. C. McCarthy, J. Sculley, J. Yu, H.-K. Jeong, P. B. Balbuena, H.-C. Zhou, “Carbon Dioxide Capture-Related Gas Adsorption and Separation in Metal-Organic Frameworks.” Coord. Chem. Rev.. 255, 1791–1823 (2011).
crossref
2. S. Xiang, Y. He, Z. Zhang, H. Wu, W. Zhou, R. Krishna, B. Chen, “Microporous Metal-Organic Framework with Potential for Carbon Dioxide Capture at Ambient Conditions.” Nat. commun.. 3, 954(2012).
crossref pmid
3. T. Grant, A. Guinan, C. Y. Shih, S. Lin, D. Vikara, D. Morgan, D. Remson, “Comparative Analysis of Transport and Storage Options from a CO2 Source Perspective.” Int. J. Greenh. Gas Control.. 72, 175–191 (2018).
crossref
4. D. Y. Leung, G. Caramanna, M. M. Maroto-Valer, “An Overview of Current Status of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Technologies.” Renew. Sust. Energ. Rev.. 39, 426–443 (2014).
crossref
5. D. Vikara, C. Y. Shih, S. Lin, A. Guinan, T. Grant, D. Morgan, D. Remson, “U. S. DOE's Economic Approaches and Resources for Evaluating the Cost of Implementing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CCUS).” JSEE.. 5, 307–340 (2017).
crossref
6. B. Hu, C. Guild, S. L. Suib, “Thermal, Electrochemical, and Photochemical Conversion of CO2 to Fuels and Value-Added Products.” J. CO2 Util. 1, 18–27 (2013).
crossref
7. Y. Tan, W. Nookuea, H. Li, E. Thorin, J. Yan, “Property Impacts on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Processes: A Review.” Energy Convers. Manage.. 118, 204–222 (2016).
crossref
8. M. Halmann, “Photoelectrochemical Reduction of Aqueous Carbon Dioxide on P-type Gallium Phosphide in Liquid Junction Solar Cells.” Nature. 275, 115–116 (1978).
crossref
9. T. Inoue, A. Fujishima, S. Konishi, K. Honda, “Photoelectrocatalytic Reduction of Carbon Dioxide in Aqueous Suspensions of Semiconductor Powders.” Nature. 277, 637–638 (1979).
crossref
10. W. Wang, S. Wang, X. Ma, J. Gong, “Recent Advances in Catalytic Hydrogenation of Carbon Dioxide.” Chem. Soc. Rev.. 40, 3703–3727 (2011).
crossref pmid
11. J. W. Maina, C. Pozo-Gonzalo, L. Kong, J. Schütz, M. Hill, L. F. Dumée, “Metal Organic framework Based Catalysts for CO2 Conversion.” Mater. Horiz.. 4, 345–361 (2017).
crossref
12. M. Melchionna, P. Fornasiero, “Updates on the Roadmap for Photocatalysis.” ACS Catal. 10, 5493–5501 (2020).
crossref
13. M. Royer, Compt. Rend. 1870, 731–732 (1870).

14. J. Augustynski, P. Kedzierzawski, B. Jermann,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O2 at Metallic Electrodes.” Stud Surf Sci Catal. 114, 107–116 (1993).
crossref
15. T. Ma, Q. Fan, X. Li, J. Qiu, T. Wu, Z. Sun, “Graphene-based Catalysts for Electrochemical Carbon Dioxide Reduction.” J. CO2 Uti.. 18, 168–182 (2019).

16. H. Wang, Y. Chen, X. Hou, C. Ma, T. Tan, “Nitrogen-Doped Graphenes as Efficient Electrocatalysts for the Selective Reduction of Carbon Dioxide to Formate in Aqueous Solution.” Green Chem.. 18, 3250–3256 (2016).
crossref
17. J. Yuan, W.-Y. Zhi, L. Liu, M.-P. Yang, H. Wang, J.-X. Lu,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O2 at Metal-Free N-Functionalized Graphene Oxide Electrodes.” Electrochim. Acta. 282, 694–701 (2018).
crossref
18. D. Kong, J. J. Cha, H. Wang, H. R. Lee, Y. Cui, “First-Row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 Catalysts for Hydrogen Evolution Reaction.” Energy Environ. Sci.. 6, 3553–3558 (2013).
crossref
19. X. Chia, A. Ambrosi, Z. Sofer, J. Luxa, M. Pumera, “Catalytic and Charge Transfer Properties of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Arising from Electrochemical Pretreatment.” ACS nano. 9, 5164–5179 (2015).
crossref pmid
20. M. Chhowalla, H. S. Shin, G. Eda, L.-J. Li, K. P. Loh, H. Zhang, “The Chemistry of Two-Dimensional Layered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 Nanosheets.” Nat. Chem.. 5, 263(2013).
crossref pmid
21. M. Asadi, K. Kim, C. Liu, A. V. Addepalli, P. Abbasi, P. Yasaei, P. Phillips, A. Behranginia, J. M. Cerrato, R. Haasch, “Nanostructured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 Electrocatalysts for CO2 Reduction in Ionic Liquid.” Science. 353, 467–470 (2016).
crossref pmid
22. J. Lee, O. K. Farha, J. Roberts, K. A. Scheidt, S. T. Nguyen, J. T. Hupp, “Metal–Organic Framework Materials as Catalysts.” Chem. Soc. Rev.. 38, 1450–1459 (2009).
crossref pmid
23. B. Y. Xia, Y. Yan, N. Li, H. B. Wu, X. W. D. Lou, X. Wang, “A Metal–Organic Framework-Derived Bifunctional Oxygen Electrocatalyst.” Nat. Energy. 1, 15006(2016).
crossref pdf
24. D. Farrusseng, S. Aguado, C. Pinel, “Metal-organic frameworks: opportunities for catalysis.” Angewandte Chemie. 48, 7502–7513 (2009).
crossref pmid
25. M. A. Tekalgne, H. Do, A. Hasani, Q. Van Le, H. Jang, S. Ahn, S. Kim, “Two-Dimensional Materials and Metal-Organic Frameworks for the CO2 Reduction Reaction.” Materials Today Advances. 5, 100038(2020).
crossref
26. J. Tang, J. R. Durrant, D. R. Klug, “Mechanism of Photocatalytic Water Splitting in TiO2.〉Reaction of Water with Photoholes, Importance of Charge Carrier Dynamics, and Evidence for Four-Hole Chemistry.” J. Am. Chem. Soc. 130, 13885–13891 (2008).
crossref pmid
27. H.-C. Zhou, J. R. Long, O. M. Yaghi, “Introduction to Metal–Oiganic Frameworks.” Chem. Rev.. 112, 673–674 (2012).
crossref pmid
28. X. Li, J. Wen, J. Low, Y. Fang, J. Yu, “Design and Fabrication of Semiconductor Photocatalyst for Photocatalytic Reduction of CO2 to Solar Fuel.” Science China Materials. 57, 70–100 (2014).
crossref
29. Y. Ma, X. Wang, Y. Jia, X. Chen, H. Han, C. Li, “Titanium Dioxide-Based Nanomaterials for Photocatalytic Fuel Generations.” Chem. Rev.. 114, 9987–10043 (2014).
crossref pmid
30. D. A. Gomez-Gualdron, T. C. Wang, P. García-Holley, R. M. Sawelewa, E. Argueta, R. Q. Snurr, J. T. Hupp, T. Yildirim, O. K. Farha, “Understanding Volumetric and Gravimetric Hydrogen Adsorption Trade-off in Metal–Organic Frameworks.” ACS Appl. Mater. Interfaces. 9, 33419–33428 (2017).
crossref pmid
31. S. Øien-Ødegaard, B. Bouchevreau, K. Hylland, L. Wu, R. Blom, C. Grande, U. Olsbye, M. Tilset, K. P. Lillerud, “UiO-67-Type Metal–Organic Frameworks with Enhanced Water Stability and Methane Adsorption Capacity.” Inorg. Chem.. 55, 1986–1991 (2016).
crossref pmid
32. D. K. Maity, A. Halder, B. Bhattacharya, A. Das, D. Ghoshal, “Selective CO2 Adsorption by Nitro Functionalized Metal Organic Frameworks.” Cryst. Growth Des.. 16, 1162–1167 (2016).
crossref
33. J. Duan, S. Chen, C. Zhao, “Using a Quantum Work Meter to Test Non-Equilibrium Fluctuation Theorems.” Nat. Commun.. 8, 1–7 (2017).
pmid pmc
34. W. Wang, X. Xu, W. Zhou, Z. Shao, “Recent Progress in Metal-Organic Frameworks for Applications in Electrocatalytic and Photocatalytic Water Splitting.” Adv. Sci.. 4, 1600371(2017).
crossref
35. G. Zhong, D. Liu, J. Zhang, “The Application of ZIF-67 and its Derivatives: Adsorption, Separation, Electrochemistry and Catalysts.” J. Mater. Chem.. 6, 1887–1899 (2018).
crossref
36. X. Xiao, S. Zheng, X. Li, G. Zhang, X. Guo, H. Xue, H. Pang, “Facile Synthesis of Ultrathin Ni-MOF Nanobelts for High-Efficiency Determination of Glucose in Human Serum.” J. Mater. Chem. B. 5, 5234–5239 (2017).
crossref pmid
37. Y. Sun, Y. Li, N. Wang, Q. Q. Xu, L. Xu, M. Lin, “Cu(II) Metal-Organic Framework Encapsulated in Carbon Paste Electrode for High-Performance Non-Enzymatic Glucose Sensing.” Electroanalysis. 30, 474–478 (2018).
crossref pdf
38. P. Kumar, A. Deep, K.-H. Kim, “Metal Organic Frameworks for Sensing Applications.” TrAC, Trends Anal. Chem.. 73, 39–53 (2015).
crossref
39. P. Horcajada, C. Serre, M. Vallet-Regí, M. Sebban, F. Taulelle, G. Férey, “Metal-Organic Frameworks as Efficient Materials for Drug Delivery.” Angew. Chem. Int. Ed.. 45, 5974–5978 (2006).
crossref
40. H. Furukawa, N. Ko, Y. B. Go, N. Aratani, S. B. Choi, E. Choi, A. Ö. Yazaydin, R. Q. Snurr, M. O'Keeffe, J. Kim, “Ultrahigh Porosity in Metal-Organic Frameworks.” Science. 329, 424–428 (2010).
crossref pmid
41. O. K. Farha, I. Eryazici, N. C. Jeong, B. G. Hauser, C. E. Wilmer, A. A. Sarjeant, R. Q. Snurr, S. T. Nguyen, A. O. z. r. Yazaydın, J. T. Hupp, “Metal–Organic Framework Materials with Ultrahigh Surface Areas: Is the Sky the Limit?.” J. Am. Chem. Soc.. 134, 15016–15021 (2012).
crossref pmid
42. R. Li, W. Zhang, K. Zhou, “Metal–Organic-Framework-Based Catalysts for Photoreduction of CO2 .” Adv. Mater.. 30, 1705512(2018).
crossref
43. D. Li, M. Kassymova, X. Cai, S.-Q. Zang, H.-L. Jiang, “Photocatalytic CO2 reduction over Metal-Organic Framework-Based Materials.” Coord. Chem. Rev.. 412, 213262(2020).
crossref
44. J. M. Lin, C. T. He, Y. Liu, P. Q. Liao, D. D. Zhou, J. P. Zhang, X. M. Chen, “A Metal-Organic Framework with a Pore Size/Shape Suitable for Strong Binding and Close Packing of Methane.” Angew. Chem. Int. Ed.. 55, 4674–4678 (2016).
crossref
45. B. M. Connolly, M. Aragones-Anglada, J. Gandara-Loe, N. A. Danaf, D. C. Lamb, J. P. Mehta, D. Vulpe, S. Wuttke, J. Silvestre-Albero, P. Z. Moghadam, ““Tuning Porosity in Macroscopic Monolithic Metal-Organic Frameworks for Exceptional Natural Gas Storage,”.” Nat. Commun. 10, 1–11 (2019).
crossref pmid pmc
46. S. M. Rogge, A. Bavykina, J. Hajek, H. Garcia, A. I. Olivos-Suarez, A. Sepúlveda-Escribano, A. Vimont, G. Clet, P. Bazin, F. Kapteijn, “Metal–Organic and Covalent Organic Frameworks as Single-Site Catalysts.” Chem. Soc. Rev. 46, 3134–3184 (2017).
crossref pmid pmc
47. A. J. Clough, J. W. Yoo, M. H. Mecklenburg, S. C. Marinescu, “Two-Dimensional Metal–Organic Surfaces for Efficient Hydrogen Evolution from Water.” J. Am. Chem. Soc.. 137, 118–121 (2015).
crossref pmid
48. R. Dong, Z. Zheng, D. C. Tranca, J. Zhang, N. Chandrasekhar, S. Liu, X. Zhuang, G. Seifert, X. Feng, “Immobilizing Molecular Metal Dithiolene–Diamine Complexes on 2D Metal–Organic Frameworks for Electrocatalytic H2 Production.” Chem. Eur. J.. 23, 2255–2260 (2017).
crossref
49. Y. P. Wu, W. Zhou, J. Zhao, W. W. Dong, Y. Q. Lan, D. S. Li, C. Sun, X. Bu, “Surfactant-Assisted Phase-Selective Synthesis of New Cobalt MOFs and Their Efficient Electrocatalytic Hydrogen Evolution Reaction.” Angew. Chem. Int. Ed.. 56, 13001–13005 (2017).
crossref
50. X. Zhao, B. Pattengale, D. Fan, Z. Zou, Y. Zhao, J. Du, J. Huang, C. Xu, “Mixed-Node Metal–Organic Frameworks as Efficient Electrocatalysts for Oxygen Evolution Reaction.” ACS Energy Lett.. 3, 2520–2526 (2018).
crossref
51. B. A. Johnson, A. Bhunia, S. Ott, “Electrocatalytic Water Oxidation by a Molecular Catalyst Incorporated into a Metal–Organic Framework Thin Film.” Dalton Trans. 46, 1382–1388 (2017).
crossref pmid pmc
52. Z. Xue, K. Liu, Q. Liu, Y. Li, M. Li, C.-Y. Su, N. Ogiwara, H. Kobayashi, H. Kitagawa, M. Liu, “Missing-Linker Metal-Organic Frameworks for Oxygen Evolution Reaction.” Nat. Commun.. 10, 1–8 (2019).
crossref pmid pmc
53. J. Jiang, L. Huang, X. Liu, L. Ai, “Bioinspired Cobalt–Citrate Metal–Organic Framework as an Efficient Electrocatalyst for Water Oxidation.” ACS Appl. Mater. Interfaces. 9, 7193–7201 (2017).
crossref pmid
54. Y. Fu, D. Sun, Y. Chen, R. Huang, Z. Ding, X. Fu, Z. Li, “An Amine-Functionalized Titanium Metal–Organic Framework Photocatalyst with Visible-Light-Induced Activity for CO2 Reduction.” Angrew. Chem. Int. Ed.. 51, 3364–3367 (2012).
crossref
55. F. Guo, Y.-P. Wei, S.-Q. Wang, X.-Y. Zhang, F.-M. Wang, W.-Y. Sun, “Pt Nanoparticles Embedded in Flowerlike NH2-UiO-68 for Enhanced Photocatalytic Carbon Dioxide Reduction.” J. Mater. Chem. A. 7, 26490–26495 (2019).
crossref
56. F. Guo, S. Yang, Y. Liu, P. Wang, J. Huang, W.-Y. Sun, “Size Engineering of Metal–Organic Framework MIL-101(Cr)–Ag Hybrids for Photocatalytic CO2 Reduction.” ACS Catal. 9, 8464–8470 (2019).
crossref
57. S.-Q. Wang, X.-Y. Zhang, X.-Y. Dao, X.-M. Cheng, W.-Y. Sun, “Cu2O@Cu@UiO-66-NH2 Ternary Nanocubes for Photocatalytic CO2 Reduction.” ACS Appl. Nano Mater. 3, 10437–10445 (2020).
crossref
58. X.-Y. Dao, X.-F. Xie, J.-H. Guo, X.-Y. Zhang, Y.-S. Kang, W.-Y. Sun, “Boosting Photocatalytic CO2 Reduction Efficiency by Heterostructures of NH2-MIL-101(Fe)/g-C3N4 .” ACS Appl. Energy Mater.. 3, 3946–3954 (2020).
crossref
59. L. Zhao, Z. Zhao, Y. Li, X. Chu, Z. Li, Y. Qu, L. Bai, L. Jing, “The Synthesis of Interface-Modulated Ultrathin Ni(ii) MOF/g-C3N4 Heterojunctions as Efficient Photocatalysts for CO2 Reduction.” Nanoscale. 12, 10010–10018 (2020).
crossref pmid
60. L. Chen, Y. Wang, F. Yu, X. Shen, C. Duan, “A Simple Strategy for Engineering Heterostructures of Au Nanoparticle-Loaded Metal–Organic Framework Nanosheets to Achieve Plasmon-Enhanced Photocatalytic CO2 Conversion under Visible Light.” J. Mater. Chem. A. 7, 11355–11361 (2019).
crossref
61. Y. Liu, J.-H. Guo, X.-Y. Dao, X.-D. Zhang, Y. Zhao, W.-Y. Sun, “An Iron–Nitrogen Doped Carbon and CdS Hybrid Catalytic System for Efficient CO2 Photochemical Reduction.” Chem. Commun.. 56, 4110–4113 (2020).
crossref
62. D. L. T. Nguyen, C. W. Lee, J. Na, M.-C. Kim, N. D. K. Tu, S. Y. Lee, Y. J. Sa, D. H. Won, H.-S. Oh, H. Kim, “Mass Transport Control by Surface Graphene Oxide for Selective CO Production from Electrochemical CO2 Reduction.” ACS Catal.. (2020).
crossref
63. J. Greeley, T. F. Jaramillo, J. Bonde, I. Chorkendorff, J. K. Nørskov, “Computational High-Throughput Screening of Electrocatalytic Materials for Hydrogen Evolution.” Nat. Mater.. 5, 909–913 (2006).
crossref pmid
64. W. J. Durand, A. A. Peterson, F. Studt, F. Abild-Pedersen, J. K. Nørskov, ““Structure Effects on the Energetics of the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O2 by Copper Surfaces,”.” Surf. Sci.. 605, 1354–1359 (2011).
crossref
65. W. A. Smith, T. Burdyny, D. A. Vermaas, H. Geerlings, “Pathways to Industrial-Scale Fuel Out of Thin Air from CO2 Electrolysis.” Joule. 3, 1822–1834 (2019).
crossref
66. C. Delacourt, P. L. Ridgway, J. Newman, “Mathematical Modeling of CO2 Reduction to CO in Aqueous Electrolytes: I. Kinetic Study on Planar Silver and Gold Electrodes.” J. Electrochem. Soc.. 157, B1902(2010).
crossref
67. M. R. Singh, K. Papadantonakis, C. Xiang, N. S. Lewis, “Operational Constraints and Strategies for Systems to Effect the Sustainable, Solar-Driven Reduction of Atmospheric CO2 .” Energy Environ. Sci.. 8, 2760–2767 (2015).
crossref pdf
68. M. R. Thorson, K. I. Siil, P. J. Kenis, “Effect of Cations on the Electrochemical Conversion of CO2 to CO.” J. Electrochem. Soc.. 160, F69(2012).
crossref
69. K. Ogura, J. R. Ferrell III, A. V. Cugini, E. S. Smotkin, M. D. Salazar-Villalpando, “CO2 Attraction by Specifically Adsorbed Anions and Subsequent Accelerated Electrochemical Reduction.” Electrochim. Acta. 56, 381–386 (2010).
crossref
70. Y. Hori, K. Kikuchi, S. Suzuki, “Production of CO and CH4 in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O2 at Metal Electrodes in Aqueous Hydrogen Carbonate Solution.” Chem. Lett.. 14, 1695–1698 (1985).
crossref
71. A. J. Botz, M. Nebel, R. A. Rincón, E. Ventosa, W. Schuhmann, “Onset Potential Determination at Gas-Evolving Catalysts by Means of Constant-Distance Mode Positioning of Nanoelectrodes.” Electrochim. Acta. 179, 38–44 (2015).
crossref
72. Y. Li, H. Wang, L. Xie, Y. Liang, G. Hong, H. Dai, “MoS2 Nanoparticles Grown on Graphene: An Advanced Catalyst for the Hydrogen Evolution Reaction.” J. Am. Chem. Soc.. 133, 7296–7299 (2011).
crossref pmid
73. J. Wu, Y. Huang, W. Ye, Y. Li, “CO2 Reduction: From the Electrochemical to Photochemical Approach.” Adv. Sci.. 4, 1700194(2017).
crossref
74. B. Kumar, M. Llorente, J. Froehlich, T. Dang, A. Sathrum, C. P. Kubiak, “Photochemical and Photo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O2 .” Phys. Chem.. 63, 541–569 (2012).
crossref
75. Y. Horiuchi, T. Toyao, M. Saito, K. Mochizuki, M. Iwata, H. Higashimura, M. Anpo, M. Matsuoka, “Visible-Light-Promoted Photocatalytic Hydrogen Production by Using an Amino-Functionalized Ti(IV) Metal–Organic Framework.” J. Phys. Chem. C. 116, 20848–20853 (2012).
crossref
76. M. Alvaro, E. Carbonell, B. Ferrer, F. X. L. i Xamena, H. Garcia, “Semiconductor Behavior of a Metal-Organic Framework (MOF).” Chem. Eur. J.. 13, 5106–5112 (2007).
crossref
77. T. Yui, Y. Tamaki, K. Sekizawa, O. Ishitani, “Photocatalytic Reduction of CO2: from Molecules to Semiconductors.” Photocatalysis. 151–184, (2011).
crossref
78. J.-X. Wu, W.-W. Yuan, M. Xu, Z.-Y. Gu, “Ultrathin 2D Nickel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 Nanosheets for Electrocatalytic Reduction of CO2 .” Chem. Commun.. 55, 11634–11637 (2019).
crossref
79. X. D. Zhang, S. Z. Hou, J. X. Wu, Z. Y. Gu, “Two-Dimensional Metal–Organic Framework Nanosheets with Cobalt-Porphyrins for High-Performance CO2 Electroreduction.” Chem. Eur. J. 26, 1604–1611 (2020).
crossref
80. Y. Wang, P. Hou, Z. Wang, P. Kang, “Zinc Imidazolate Metal–Organic Frameworks (ZIF-8) for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O2 to CO.” ChemPhysChem. 18, 3142–3147 (2017).
crossref pmid
81. X. Jiang, H. Li, J. Xiao, D. Gao, R. Si, F. Yang, Y. Li, G. Wang, X. Bao, “Carbon Dioxide Electroreduction over Imidazolate Ligands Coordinated with Zn(II) Center in ZIFs.” Nano Energy. 52, 345–350 (2018).
crossref
82. N. Kornienko, Y. Zhao, C. S. Kley, C. Zhu, D. Kim, S. Lin, C. J. Chang, O. M. Yaghi, P. Yang, “Metal–Organic Frameworks for Electrocatalytic Reduction of Carbon Dioxide.” J. Am. Chem. Soc.. 137, 14129–14135 (2015).
crossref pmid
83. Q. Huang, Q. Li, J. Liu, R. Wang, Y.-Q. Lan, “Disclosing CO2 Activation Mechanism by Hydroxyl-Induced Crystalline Structure Transformation in Electrocatalytic Process.” Matter. 1, 1656–1668 (2019).
crossref
84. I. Hod, M. D. Sampson, P. Deria, C. P. Kubiak, O. K. Farha, J. T. Hupp, “Fe-Porphyrin-Based Metal–Organic Framework Films as High-Surface Concentration, Heterogeneous Catalysts for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O2 .” ACS Catal.. 5, 6302–6309 (2015).
crossref
85. R. Hinogami, S. Yotsuhashi, M. Deguchi, Y. Zenitani, H. Hashiba, Y. Yamada,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arbon Dioxide Using a Copper Rubeanate Metal Organic Framework.” ECS Electrochem. Lett.. 1, H17–19 (2012).
crossref
86. R. S. Kumar, S. S. Kumar, M. A. Kulandainathan, “Highly Selective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arbon Dioxide Using Cu Based Metal Organic Framework as an Electrocatalyst.” Electrochem. Commun.. 25, 70–73 (2012).
crossref
87. C.-W. Kung, C. O. Audu, A. W. Peters, H. Noh, O. K. Farha, J. T. Hupp, “Copper Nanoparticles Installed in Metal–Organic Framework Thin Films are Electrocatalytically Competent for CO2 Reduction.” ACS Energy Lett.. 2, 2394–2401 (2017).
crossref
88. P. De Luna, W. Liang, A. Mallick, O. Shekhah, F. P. García de Arquer, A. H. Proppe, P. Todorović, S. O. Kelley, E. H. Sargent, M. Eddaoudi, “Metal–Organic Framework Thin Films on High-Curvature Nanostructures Toward Tandem Electrocatalysis.” ACS Appl. Mater. Interfaces. 10, 31225–31232 (2018).
crossref pmid
89. Y. T. Guntern, J. R. Pankhurst, J. Vávra, M. Mensi, V. Mantella, P. Schouwink, R. Buonsanti, “Nanocrystal/Metal-Organic Framework Hybrids as Electrocatalytic Platforms for CO2 Conversion.” Angew. Chem. Int. Ed.. 58, 12632–12639 (2019).
crossref
90. J. Song, B. Zhang, T. Jiang, G. Yang, B. Han, “Synthesis of Cyclic Carbonates and Dimethyl Carbonate Using CO2 as a Building Block Catalyzed by MOF-5/KI and MOF-5/KI/K2CO3 .” Frontiers of Chemistry in China. 6, 21–30 (2011).
crossref
91. N. Stock, S. Biswas, “Synthesis of Metal-Organic Frameworks (MOFs): Routes to Various MOF Topologies, Morphologies, and Composites.” Chem. Rev.. 112, 933–969 (2012).
crossref pmid
92. T. Zhang, W. Lin, “Metal–Organic Frameworks for Artificial Photosynthesis and Photocatalysis.” Chem. Soc. Rev.. 42, 5982–5993 (2014).
crossref
93. M. A. Nasalevich, M. G. Goesten, T. J. Savenije, F. Kapteijn, J. Gascon, “Enhancing Optical Absorption of Metal–Organic Frameworks for Improved Visible Light Photocatalysis.” Chem. Commun.. 49, 10575–10577 (2013).
crossref
94. H. Wang, Q.-L. Zhu, R. Zou, Q. Xu, “Metal-Organic Frameworks for Energy Applications.” Chem. 2, 52–80 (2017).
crossref
95. Y. Lin, C. Kong, Q. Zhang, L. Chen, “Direct Capture of CO2 from Ambient Air.” Chem. Rev. 116, 11840–11876 (2016).
crossref pmid pdf
96. Y.-B. Huang, J. Liang, X.-S. Wang, R. Cao, “Multifunctional Metal–Organic Framework Catalysts: Synergistic Catalysis and Tandem Reactions.” Chem. Soc. Rev.. 46, 126–157 (2017).
crossref pmid
97. D. Britt, D. Tranchemontagne, O. M. Yaghi, “Metal-Organic Frameworks with High Capacity and Selectivity for Harmful Gases.” Proc. Natl. Acad. Sci.. 105, 11623–11627 (2008).
crossref
98. A. K. Chaudhari, I. Han, J. C. Tan, “Multifunctional Supramolecular Hybrid Materials Constructed from Hierarchical Self-Ordering of In Situ Generated Metal-Organic Framework (MOF) Nanoparticles.” Adv. Mater.. 27, 4438–4446 (2015).
crossref pmid pmc
99. M. Ghorbanloo, V. Safarifard, A. Morsali, “Heterogeneous Catalysis with a Coordination Modulation Synthesized MOF: Morphology-Dependent Catalytic Activity.” New J. Chem.. 41, 3957–3965 (2017).
crossref
100. S. Kitagawa, “Metal–Organic Frameworks (MOFs).” Chem. Soc. Rev.. 43, 5415–5418 (2014).
crossref pmid
101. L. B. Vilhelmsen, K. S. Walton, D. S. Sholl, ““Structure and Mobility of Metal Clusters in MOFs: Au, Pd, and AuPd Clusters in MOF-74”.” J. Am. Chem. Soc.. 134, 12807–12816 (2012).
crossref pmid
102. S. Bordiga, C. Lamberti, G. Ricchiardi, L. Regli, F. Bonino, A. Damin, K.-P. Lillerud, M. Bjorgen, A. Zecchina, “Electronic and Vibrational Properties of a MOF-5 Metal–Organic Framework: ZnO Quantum Dot Behavior.” Chem. Commun.. 2300–2301 (2004).
crossref
103. J. E. Mondloch, M. J. Katz, N. Planas, D. Semrouni, L. Gagliardi, J. T. Hupp, O. K. Farha, “Are Zr6-Based MOFs Water Stable? Linker Hydrolysis vs. Capillary-Force-Driven Channel Collapse.” Chem. Commun.. 50, 8944–8946 (2014).
crossref
104. S. J. Garibay, S. M. Cohen, “Isoreticular Synthesis and Modification of Frameworks with the UiO-66 Topology.” Chem. Commun.. 46, 7700–7702 (2010).
crossref
105. J. H. Cavka, S. Jakobsen, U. Olsbye, N. Guillou, C. Lamberti, S. Bordiga, K. P. Lillerud, “A New Zirconium Inorganic Building Brick Forming Metal Organic Frameworks with Exceptional Stability.” J. Am. Chem. Soc.. 130, 13850–13851 (2008).
crossref pmid
106. W. Liang, R. Babarao, D. M. D'Alessandro, “Microwave-Assisted Solvothermal Synthesis and Optical Properties of Tagged MIL-140A Metal–Organic Frameworks.” Inorg. Chem.. 52, 12878–12880 (2013).
crossref pmid
107. D. Sun, W. Liu, M. Qiu, Y. Zhang, Z. Li, “Introduction of a Mediator for Enhancing Photocatalytic Performance via Post-Synthetic Metal Exchange in Metal–Organic Frameworks (MOFs).” Chem. Commun.. 51, 2056–2059 (2015).
crossref
108. J. Tu, X. Zeng, F. Xu, X. Wu, Y. Tian, X. Hou, Z. Long, “Microwave-Induced Fast Incorporation of Titanium into UiO-66 Metal–Organic Frameworks for Enhanced Photocatalytic Properties.” Chem. Commun.. 53, 3361–3364 (2017).
crossref
109. D. Sun, Y. Fu, W. Liu, L. Ye, D. Wang, L. Yang, X. Fu, Z. Li, “Studies on Photocatalytic CO2 Reduction over NH2-Uio-66(Zr) and Its Derivatives: Towards a Better Understanding of Photocatalysis on Metal–Organic Frameworks.” Chem. Eur. J.. 19, 14279–14285 (2013).
crossref
110. C. Wang, Z. Xie, K. E. deKrafft, W. Lin, “Doping Metal–Organic Frameworks for Water Oxidation, Carbon Dioxide Reduction, and Organic Photocatalysis.” J. Am. Chem. Soc.. 133, 13445–13454 (2011).
crossref pmid
111. D. Wang, R. Huang, W. Liu, D. Sun, Z. Li, “Fe-Based MOFs for Photocatalytic CO2 Reduction: Role of Coordination Unsaturated Sites and Dual Excitation Pathways.” ACS Catal.. 4, 4254–4260 (2014).
crossref
112. C. Liu, W. Wang, B. Liu, J. Qiao, L. Lv, X. Gao, X. Zhang, D. Xu, W. Liu, J. Liu, “Recent Advances in MOF-Based Nanocatalysts for Photo-Promoted CO2 Reduction Applications.” Catalysts. 9, 658(2019).
crossref
113. M. Nasalevich, M. Van der Veen, F. Kapteijn, J. Gascon, “Metal–Organic Frameworks as Heterogeneous Photocatalysts: Advantages and Challenges.” CrystEngComm. 16, 4919–4926 (2014).
crossref
114. P. Bhanja, A. Modak, A. Bhaumik, “Porous Organic Polymers for CO2 Storage and Conversion Reactions.” ChemCatChem. 11, 244–257 (2019).
crossref
115. M. W. Logan, S. Ayad, J. D. Adamson, T. Dilbeck, K. Hanson, F. J. Uribe-Romo, “Systematic Variation of the Optical Bandgap in Titanium Based Isoreticular Metal–Organic Frameworks for Photocatalytic Reduction of CO2 under Blue Light.” J. Mater. Chem. A. 5, 11854–11863 (2017).
crossref
116. C. Wang, K. E. DeKrafft, W. Lin, “Pt Nanoparticles@Photoactive Metal–Organic Frameworks: Efficient Hydrogen Evolution via Synergistic Photoexcitation and Electron Injection.” J. Am. Chem. Soc.. 134, 7211–7214 (2012).
crossref pmid
117. L. Shen, W. Wu, R. Liang, R. Lin, L. Wu, “Highly Dispersed Palladium Nanoparticles Anchored on UiO-66(NH2) Metal-Organic Framework as a Reusable and Dual Functional Visible-Light-Driven Photocatalyst.” Nanoscale. 5, 9374–9382 (2013).
crossref pmid
118. J. D. Xiao, Q. Shang, Y. Xiong, Q. Zhang, Y. Luo, S. H. Yu, H. L. Jiang, “Boosting Photocatalytic Hydrogen Production of a Metal–Organic Framework Decorated with Platinum Nanoparticles: The Platinum Location Matters.” Angew. Chem. Int. Ed.. 55, 9389–9393 (2016).
crossref
119. J. He, Z. Yan, J. Wang, J. Xie, L. Jiang, Y. Shi, F. Yuan, F. Yu, Y. Sun, “Significantly Enhanced Photocatalytic Hydrogen Evolution under Visible Light over CdS Embedded on Metal–Organic Frameworks.” Chem. Commun.. 49, 6761–6763 (2013).
crossref
120. U. J. Ryu, S. J. Kim, H.-K. Lim, H. Kim, K. M. Choi, J. K. Kang, “Synergistic Interaction of Re Complex and Amine Functionalized Multiple Ligands in Metal-Organic Frameworks for Conversion of Carbon Dioxide.” Sci. Rep.. 7, 1–8 (2017).
crossref pmid pmc
121. Z.-H. Yan, M.-H. Du, J. Liu, S. Jin, C. Wang, G.-L. Zhuang, X.-J. Kong, L.-S. Long, L.-S. Zheng, “Photo-generated dinuclear {Eu(II)}2 Active Sites for Selective CO2 Reduction in a Photosensitizing Metal-Organic Framework.” Nat. Commun.. 9, 1–9 (2018).
crossref pmid pmc pdf
122. R. Huang, Y. Peng, C. Wang, Z. Shi, W. Lin, ““A Rhenium-Functionalized Metal–Organic Framework as a Single-Site Catalyst for Photochemical Reduction of Carbon Dioxide,” Eur..” J. Inorg. Chem.. 2016, 4368–4362 (2016).

123. M. B. Chambers, X. Wang, N. Elgrishi, C. H. Hendon, A. Walsh, J. Bonnefoy, J. Canivet, E. A. Quadrelli, D. Farrusseng, C. Mellot-Draznieks, “Photocatalytic Carbon Dioxide Reduction with Rhodium-Based Catalysts in Solution and Heterogenized within Metal-Organic Frameworks.” ChemSusChem. 8, 603–608 (2015).
crossref pmid
124. D. Sun, Y. Gao, J. Fu, X. Zeng, Z. Chen, Z. Li, “Construction of a Supported Ru Complex on Bifunctional MOF-253 for Photocatalytic CO2 Reduction under Visible Light.” Chem. Commun.. 51, 2645–2648 (2015).
crossref
125. L. Li, S. Zhang, L. Xu, J. Wang, L.-X. Shi, Z.-N. Chen, M. Hong, J. Luo, “Effective Visible-Light Driven CO2 Photoreduction via a Promising Bifunctional Iridium Coordination Polymer.” Chem. Sci.. 5, 3808–3813 (2014).
crossref
126. S. Zhang, L. Li, S. Zhao, Z. Sun, M. Hong, J. Luo, “Hierarchical Metal–Organic Framework Nanoflowers for Effective CO2 Transformation Driven by Visible Light.” J. Mater. Chem. A. 3, 15764–15768 (2015).
crossref
127. Y. Tamaki, T. Morimoto, K. Koike, O. Ishitani, “Photocatalytic CO2 Reduction with High Turnover Frequency and Selectivity of Formic Acid Formation Using Ru(II) Multinuclear Complexes.” Proc. Natl. Acad. Sci.. 109, 15673–15678 (2012).
crossref
128. S. Sato, T. Morikawa, T. Kajino, O. Ishitani, “A Highly Efficient Mononuclear Iridium Complex Photocatalyst for CO2 Reduction under Visible Light.” Angew. Chem. Int. Ed.. 52, 988–992 (2013).
crossref
129. H. Fei, M. D. Sampson, Y. Lee, C. P. Kubiak, S. M. Cohen, “Photocatalytic CO2 Reduction to Formate Using a Mn(I) Molecular Catalyst in a Robust Metal–Organic Framework.” Inorg. Chem.. 54, 6821–6828 (2015).
crossref pmid
130. Z. Huang, P. Dong, Y. Zhang, X. Nie, X. Wang, X. Zhang, “Visible-Light Photoreduction of CO2 in a Metal–Organic Framework: Boosting Electron–Hole Separation via Electron Trap States.” J. CO2 Util.. 24, 369–375 (2018).

131. S. Wang, X. Wang, “Photocatalytic CO2 Reduction by CdS Promoted with a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 Appl. Catal. B. 162, 494–500 (2015).
crossref
132. M. Zhu, J. Tang, W. Wei, S. Li, “Recent Progress in the Syntheses and Applications of Multishelled Hollow Nanostructures.” Mater. Chem. Front.. 4, 1105–1149 (2020).
crossref
133. L. Shi, L. Yang, H. Zhang, K. Chang, G. Zhao, T. Kako, J. Ye, “Implantation of Iron(III) in Porphyrinic Metal Organic Frameworks for Highly Improved Photocatalytic Performance.” Appl. Catal. B. 224, 60–68 (2018).
crossref
134. S. Wang, J. Lin, X. Wang, “Semiconductor–Redox Catalysis Promoted by Metal–Organic Frameworks for CO2 Reduction.” Phys. Chem. Chem. Phys.. 16, 14656–14660 (2014).
crossref pmid
135. R. Li, J. Hu, M. Deng, H. Wang, X. Wang, Y. Hu, H. L. Jiang, J. Jiang, Q. Zhang, Y. Xie, “Integration of an Inorganic Semiconductor with a Metal–Organic Framework: A Platform for Enhanced Gaseous Photocatalytic Reactions.” Adv. Mater.. 26, 4783–4788 (2014).
crossref pmid
136. N. T. Nguyen, M. Altomare, J. Yoo, P. Schmuki, “Efficient Photocatalytic H2 Evolution: Controlled Dewetting–Dealloying to Fabricate Site-Selective High-Activity Nanoporous Au Particles on Highly Ordered TiO2 Nanotube Arrays.” Adv. Mater.. 27, 3208–3215 (2015).
crossref pmid
137. S. Bouhadoun, C. Guillard, F. Dapozze, S. Singh, D. Amans, J. Bouclé, N. Herlin-Boime, “One Step Synthesis of N-Doped and Au-Loaded TiO2 Nanoparticles by Laser Pyrolysis: Application in Photocatalysis.” Appl. Catal. B. 174, 367–375 (2015).
crossref
138. K. M. Choi, D. Kim, B. Rungtaweevoranit, C. A. Trickett, J. T. D. Barmanbek, A. S. Alshammari, P. Yang, O. M. Yaghi, “Plasmon-Enhanced Photocatalytic CO2 Conversion within Metal–Organic Frameworks under Visible Light.” J. Am. Chem. Soc.. 139, 356–362 (2017).
crossref pmid
139. D. Sun, W. Liu, Y. Fu, Z. Fang, F. Sun, X. Fu, Y. Zhang, Z. Li, “Noble Metals Can Have Different Effects on Photocatalysis over Metal–Organic Frameworks (MOFs): A Case Study on M/NH2-MIL-125(Ti) (M=Pt and Au).” Chemistry-A European Journal. 20, 4780–4788 (2014).
crossref pmid
140. X. Wang, X. Zhao, D. Zhang, G. Li, H. Li, “Microwave Irradiation Induced UIO-66-NH2 Anchored on Graphene with High Activity for Photocatalytic Reduction of CO2 .” Appl. Catal. B. 228, 47–53 (2018).
crossref
141. P. Shao, L. Yi, S. Chen, T. Zhou, J. Zhang, “Metal-Organic Frameworks for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arbon Dioxide: The Role of Metal Centers.” J. Energy Chem.. 40, 156–170 (2019).
crossref
142. R. Kortlever, J. Shen, K. J. P. Schouten, F. Calle-Vallejo, M. T. Koper, “Catalysts and Reaction Pathways for the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arbon Dioxide.” J. Phys. Chem. Lett.. 6, 4073–4082 (2015).
crossref pmid
143. Z.-G. Gu, J. Zhang, “Epitaxial Growth and Applications of Oriented Metal–Organic Framework Thin Films.” Coor. Chem. Rev.. 378, 513–532 (2019).
crossref
144. Y.-R. Wang, Q. Huang, C.-T. He, Y. Chen, J. Liu, F.-C. Shen, Y.-Q. Lan, “Oriented Electron Transmission in Polyoxometalate-Metalloporphyrin Organic Framework for Highly Selective Electroreduction of CO2 .” Nat. Commun.. 9, 1–8 (2018).
crossref pmid pmc pdf
145. B.-X. Dong, S.-L. Qian, F.-Y. Bu, Y.-C. Wu, L.-G. Feng, Y.-L. Teng, W.-L. Liu, Z.-W. Li,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O2 to CO by a Heterogeneous Catalyst of Fe–Porphyrin-Based Metal–Organic Framework.” ACS Appl. Energy Mater.. 1, 4662–2669 (2018).
crossref
146. K. Zhao, Y. Liu, X. Quan, S. Chen, H. Yu, “CO2 Electroreduction at Low Overpotential on Oxide-Derived Cu/Carbons Fabricated from Metal Organic Framework.” ACS Appl. Energy Mater.. 9, 5302–5311 (2017).
crossref
147. Y. Chen, D. Wang, X. Deng, Z. Li, “Metal–Organic Frameworks (MOFs) for Photocatalytic CO2 Reduction.” Catal. Sci. Technol.. 7, 4893–4904 (2017).
crossref
148. W. Zhang, Y. Hu, L. Ma, G. Zhu, Y. Wang, X. Xue, R. Chen, S. Yang, Z. Jin, “Progress and Perspective of Electrocatalytic CO2 Reduction for Renewable Carbonaceous Fuels and Chemicals.” Adv. Sci.. 5, 1700275(2018).
crossref
149. J. Albo, D. Vallejo, G. Beobide, O. Castillo, P. Castaño, A. Irabien, “Copper-Based Metal-Organic Porous Materials for CO2 Electrocatalytic Reduction to Alcohols.” ChemSusChem. 10, 1100–1109 (2017).
crossref pmid
150. J.-X. Wu, S.-Z. Hou, X.-D. Zhang, M. Xu, H.-F. Yang, P.-S. Cao, Z.-Y. Gu, “Cathodized Copper Porphyrin Metal–Organic Framework Nanosheets for Selective Formate and Acetate Production from CO2 Electroreduction.” Chem. Sci.. 10, 2199–2205 (2019).
crossref pmid
151. X. Tan, C. Yu, C. Zhao, H. Huang, X. Yao, X. Han, W. Guo, S. Cui, H. Huang, J. Qiu, “Restructuring of Cu2O to Cu2O@Cu-Metal–Organic Frameworks for Selective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O2 .” ACS Appl. Energy Mater.. 11, 9904–9910 (2019).
crossref
152. Y. Guo, H. Yang, X. Zhou, K. Liu, C. Zhang, Z. Zhou, C. Wang, W. Lin, “Electrocatalytic Reduction of CO2 to CO with 100% Faradaic Efficiency by Using Pyrolyzed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s Supported on Carbon Nanotube Networks.” J. Mater. Chem. A. 5, 24867–24873 (2017).
crossref
153. X. Jiang, H. Wu, S. Chang, R. Si, S. Miao, W. Huang, Y. Li, G. Wang, X. Bao, “Boosting CO2 Electroreduction over Layered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s Decorated with Ag2O Nanoparticles.” J. Mater. Chem. A. 5, 19371–19377 (2017).
crossref
154. X. Wang, Z. Chen, X. Zhao, T. Yao, W. Chen, R. You, C. Zhao, G. Wu, J. Wang, W. Huang, “Regulation of Coordination Number over Single Co Sites: Triggering the Efficient Electroreduction of CO2 .” Angew. Chem. Int. Ed.. 57, 1944–1948 (2018).
crossref
155. Y. Zheng, P. Cheng, J. Xu, J. Han, D. Wang, C. Hao, H. R. Alanagh, C. Long, X. Shi, Z. Tang, “MOF-Derived Nitrogen-Doped Nanoporous Carbon for Electroreduction of CO2 to CO: the Calcining Temperature Effect and the Mechanism.” Nanoscale. 11, 4911–4917 (2019).
crossref pmid
156. Y. Lee, S. Kim, H. Fei, J. K. Kang, S. M. Cohen, “Photocatalytic CO2 Reduction Using Visible Light by Metal-Monocatecholato Species in a Metal–Organic Framework.” Chem. Commun.. 51, 16549–16552 (2015).
crossref
157. S.-Q. Wang, X.-Y. Zhang, X.-Y. Dao, X.-M. Cheng, W.-Y. Sun, “Cu2O@Cu@UiO-66-NH2 Ternary Nanocubes for Photocatalytic CO2 Reduction.” ACS Appl. Nano Mater.. 3, 10437–10445 (2020).
crossref
158. X.-Y. Dao, J.-H. Guo, Y.-P. Wei, F. Guo, Y. Liu, W.-Y. Sun, “Solvent-Free Photoreduction of CO2 to CO Catalyzed by Fe-MOFs with Superior Selectivity.” Inorg. Chem.. 58, 8517–8524 (2019).
crossref pmid

Biography

ceramist-24-1-67i1.jpg
◉◉조 진 혁
◉ 2020년 – 현재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석사과정
◉ 2013년 – 2018년 부산대학교 나노응용공학과 학사

Biography

ceramist-24-1-67i2.jpg
◉◉김수영
◉ 2019년 – 현재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
◉ 2009년 – 2019년 중앙대학교 화학신소재공학부 교수
◉ 2015년 – 2016년 University of Chicago Visiting Scholar
◉ 2007년 – 2009년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Post. Doc.
◉ 1995년 – 2007년 포항공과대학교 신소재공학과 학, 석, 박사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 10,850 View
  • 465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Ceramist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Meorijae Bldg., Suite # 403, 76, Bangbae-ro, Seocho-gu, Seoul 06704, Korea
Tel: +82-2-584-0185    Fax: +82-2-586-4582    E-mail: ceramic@kcers.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Ceramic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